우수한 거래 플랫폼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밴드(으)로 기사보내기 텔레그램(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5일 삼성SDS 본사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서 김연수 한글과컴퓨터 대표(왼쪽)와 양재영 삼성SDS RPA사업팀장(상무)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컴 제공
한글과컴퓨터가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와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사업 확장을 위해 국내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선도 기업인 삼성SDS와 손을 잡는다.
5일 두 회사는 삼성SDS 본사에서 김연수 한컴 대표, 삼성SDS RPA사업팀장 양재영 상무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으로 한컴은 삼성SDS의 자동화 분야 기술파트너 역할을 하며, 한컴오피스, 한컴싸인, 광학문자인식(OCR), 자연어처리(NLP) 기술을 비롯해 케이단(KDAN)의 PDF 도큐먼트 AI 등 다양한 보유 기술들을 API와 SD 형태로 삼성SDS에 제공한다.
삼성SDS는 한컴이 제공하는 API·SDK를 자사가 보유한 '브리티(Brity) RPA', 오토메이션플랫폼과 같은 업무 자동화 솔루션과 연계해 개발함으로써 고도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삼성SDS의 자동화 분야 고객별 니즈에 알맞은 신규 API를 공동 개발해 공급하고, 삼성SDS의 기존 고객뿐 아니라 해외의 신규 고객을 대상으로 새로운 업무 자동화 서비스 개발 및 사업화도 공동으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양사는 정기협의체를 구성해 기술 및 정보 공유를 추진하는 등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김연수 한컴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은 한컴의 고도화된 소프트웨어 기술이 RPA 분야를 시작으로 다양한 AI,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들과 연계해 확장해가는 주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한컴의 기술들을 API와 SDK로 개방함으로써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과의 협력관계를 확대하여 새로운 AI 서비스 케이스를 적극 발굴하겠다"라고 말했다.
양재영 삼성SDS 상무는 "한컴의 우수한 문서 편집, 비정형 데이터 처리 등 다양한 기술과 연계를 통해 RPA 솔루션의 자동화 범위와 깊이를 더해 고객에게 더 똑똑하고 편리한 업무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
글로벌 및 한국 EVA 수지 시장 우수한 성장 2022-2029 | 주요 핵심 업체 DuPont, ExxonMobil, FPC, Hanwha Total
새로운 연구는 EVA 수지 시장 2022-2029년 경쟁, 기회, 산업 동향, 수익 예측 및 업계에서 검증된 통계를 심층적으로 조사합니다. 또한 업스트림 원자재 및 다운스트림 분석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장하기 전에 마케팅 체인 구조에 대한 심층적인 개요를 제공합니다. 글로벌 EVA 수지 시장 조사 분석은 최근 EVA 수지 산업 현황에 대한 탁월한 통계를 제공하며 한편 EVA 수지 산업에 관심이 있는 기업과 개인에게 중요한 지침 역할을 합니다. 글로벌 EVA 수지 시장에 대한 보고서는 EVA 수지 시장에 대한 더 나은 이해와 국제 플랫폼에서의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중요한 계획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글로벌 EVA 수지 시장 보고서의 연구 목표는 주요 기업 간의 산업 경쟁력과 프로필, 가격 구조, 가치 평가 및 채널 특성을 통합하는 것입니다. EVA 수지 시장에 대한 자세한 산업 평가는 일련의 시장 중심 구성 요소, 여러 비즈니스 중심 통계, 산업 패러다임에 대한 심층 분석을 결정합니다. 글로벌 EVA 수지 시장 참가자는 EVA 수지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전 세계 시장에서 자신의 위치를 강화하기 위해 일련의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이 보고서에는 경쟁 환경, EVA 수지 시장 규모, 제품 벤치마킹, 가능한 산업 동향, 제품 개발 전략, 재무 평가 등에 대한 포괄적인 세부 정보가 포함됩니다. 이 외에도 세계 EVA 수지 시장 보고서에는 거래, 신제품 출시, 파트너십 및 합병을 포함하여 EVA 수지 시장의 뚜렷한 개발 동향에 대한 조사가 포함되어 있어 EVA 수지 산업 역학을 지배하고 전체 글로벌 EVA 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합니다. 2022년부터 2028년까지 예측 타임라인 동안 시장.
EVA 수지 시장에 업로드된 주요 플레이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듀폰(미국) RPA 리더 삼성SDS와 AI 기반 API·SDK 사업 확장 맞손
엑손모빌(미국)
FPC(TW)
한화토탈(KR)
USI(TW)
Sinopec 베이징 옌산(CN)
시켐(SA)
BASF-YPC(CN)
브라스켐(BR)
웨스트레이크(미국)
TPI 폴렌(TH)
LG화학(한국)
Celanese(미국)
아르케마(FR)
렙솔(ES)
라이온델바젤(NL) RPA 리더 삼성SDS와 AI 기반 API·SDK 사업 확장 맞손
스미토모화학(JP)
Levima/Haoda Chem(CN)
롯데화학(KR)
합계(프랑스)
토소(일본)
버살리스/에니(IT)
우베(일본)
화메이 폴리머(CN)
NUC 주식회사(일본)
섬성토탈(KR)
EVA 수지 시장은 제품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관형 EVA
오토클레이브 EVA
기타 프로세스
EVA 수지 시장의 응용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영화
접착제 및 코팅
성형 플라스틱
발포재
기타 애플리케이션
EVA 수지 시장의 주요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북미 시장(미국, 캐나다, 북미 국가 및 멕시코),
유럽 시장(독일, EVA 수지 프랑스, 영국, 러시아 및 이탈리아),
아시아 태평양 시장(중국, EVA 수지 일본 및 한국, 아시아 국가, 인도 및 동남아시아),
남미 시장(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등),
중동 및 아프리카 시장(사우디아라비아 반도, UAE, 이집트,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COVID-19가 글로벌 EVA 수지 시장 보고서에 미치는 영향:
최근 발표된 글로벌 EVA 수지 시장 보고서는 소비자 행동 및 제품 수요의 주요 업데이트, 구매 패턴, 공급망 개혁 및 정부의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는 COVID-19 전염병에 대한 간략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연구 보고서는 또한 COVID-19가 전 세계 EVA 수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적절한 추정, 분리 및 예측을 지정합니다.
글로벌 EVA 수지 시장이 RPA 리더 삼성SDS와 AI 기반 API·SDK 사업 확장 맞손 제공하는 최고 품질의 기능:
• 보고서는 추진 요소, 위협 및 실질적인 기회를 포함하여 글로벌 EVA 수지 시장의 차별화 가능한 역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성장률, 수량, 생산, 소비, 총 마진 등을 추정하여 EVA 수지 산업 잠재력을 평가합니다.
• 주요 전략, 제품 사양, EVA 수지 산업 점유율, 재정 벤치마킹, SWOT 분석 등과 같은 경쟁업체의 성과에 대한 심층적이고 통찰력 있는 세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연구는 최고 수준의 수익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능한 지역의 판매 및 유통 채널을 분석합니다.
• 비즈니스 성장을 최적화하기 위해 글로벌 EVA 수지 시장의 산업 공급망과 관련된 심층 정보를 제공합니다.
• 또한 주요 공급업체의 R&D, 거래, 협업 및 제품 출시를 포함하는 글로벌 EVA 수지 시장의 전체 전망에 즉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EVA 수지 시장에 대한 공급망 수요, 수출입 통계 및 규제 수준 환경을 분석합니다.
2022 인공지능 온라인 경진대회 수상자 단체 기념 촬영 모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2022년 인공지능 온라인 경진대회' 최종 결과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허성욱. 이하, NIPA) 누리집을 통해 1일 발표했다.
NIPA 주관으로 온라인에서 인공지능(AI) 알고리즘 개발 능력을 겨룬 이번 대회는 인공지능 기술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알고리즘 개발 능력이 우수한 예비창업자, 중소·개척기업 등을 발굴하여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사업화도 함께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대회는 지난 6월 7일부터 21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되었고, 총 526개팀 1,050명이 참가했다.
1차 선정(우수팀)된 참가팀은 인공지능 허브(AI HUB)에 개방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출제된 이미지(4문제), 자연어(4문제), 수치해석(2문제) 등 10개의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스스로 개발한 인공지능모형을 문제 해결에 적용하고, 결과를 평가하여 문제별 1위부터 4위까지의 성적 우수팀 총 40개팀이 선발됐다.
최종 선정(사업화 지원 등)에서는 우수팀을 대상으로 경진대회 성적, 향후 사업화 가능성 등을 종합평가하여, 이미지 분야(8개팀), 자연어 분야(8개팀), 수치해석 분야(4개팀) 등 총 20개팀을 최종 선발하였고, 사업화 지원 자금을 팀당 2억원씩 지원될 예정이다. 특히, 이미지ㆍ자연어ㆍ수치해석 등 각 분야 1위와 2위에게는 과기정통부장관상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상이 추가로 수여됐다.
2022년 인공지능 온라인 경진대회 우수성과 사업화지원 대상 20개 팀은 아래와 같다.
▷이미지 (8개 팀)
1위(장관상)에는 (주)오토피디아의 오토피디아-닥터차 가 '이미지 검색 기술 개발을 통한 닥터차 서비스 내 검색 시스템 고도화'로 수상했으며, 2위(NIPA 원장상)는 아이코드랩의 ICODE-LAB 이 '웹툰 자동 제작 플랫폼 기술 고도화'로 수상했다.
3위에는 프리딕션의 긍긍이의삶 이 '인공지능 맞춤 교육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기업간거래(B2B) 제공를 위한 모듈화 및 데이터검증 자동화'로, 4위 (주)올뉴시스템즈의 주최측입니다 '영상정보를 이용한 엣지 인공지능(Edge AI) 기반 산업안전 예방 관리 시스템 개발', 5위 (주)서르 Seoreu-KNU '인공지능 비전 기반의 실내형 생활폐기물 분류기 상용화' 6위 (주)리모 리모를찾아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준지도학습 인공진으모형 기반 근로자 상태 스크리닝 시스템' 7위 메디브 HNU-CNUH '인공지능개발용 의료데이터 구축솔루션' 8위 (주)아트랩 아트랩-스킨로그 '얼굴윤곽추적 인공지능 기반 성형관리 솔루션'으로 각 순위에 올랐다.
▷자연어(8개 팀)
1위(장관상)에는 (주)튜닙의 튜닙 이 관심있는 주제에 대해 1:1 토론할 수 있는 '속 시원한 대화 광장 민트초코'로 수상했으며, 2위(NIPA 원장상)는 웨이브덱의 웨이브덱 이 '창작자 대상 음향 작업 서비스 사업화'로 수상했다.
3위에는 (주)스퀴즈비츠 SQZBD '무인안내기용 초경량 음성 인식 인공지능I 솔루션' 4위 쿼카에이아이 QuoQA '민감정보보호 모형 개발 및 데이터셋 구축' 5위 에이엘아이 엘라스틱 '인게임 캐릭터를 위한 대화 및 행동 생성 인공지능 솔루션' 6위 (주)빅웨이브에이아이 빅웨이브 AI '딥러닝 기반의 심리 상담 분석 보조 시스템' 7위 (주)페픽 powinz '인공지능 소설 창작 도구 시제품 개발' 8위 (주)제제듀 DZZ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채점 지원 및 대행 시스템 개발' 로 각각 순위에 올랐다.
▷수치해석(4개 팀)
1위(장관상)에는( 주)업티어의 업티어 가 '코로나 시대의 소매업 특화 수요예측 플랫폼 사업화'로 수상했으며, 2위(NIPA 원장상)에는 (주)스파이더코어의 보노보노 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센서 데이터 기반의 위험 검출 솔루션 개발'로 수상했다. 3위에는 텔스타홈멜의 iShango 이 '자주검사 자동화를 위한 액티브 러닝' 4위에는 브릭의 niks2000 '지능형공장을 위한 예보 서비스 사업화'로 각각 순위에 올랐다.
한편, 인공지능 온라인 경진대회는 ‘19년부터 개최되어 매년 400명 이상이 참가하였으며, 그 동안 예비창업자 및 중소·벤처기업 70개를 대상으로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였다.
올해 선정된 20개팀 중 6개팀은 올해 창업한 기업으로 의료ㆍ개인정보보호ㆍ소상공인 분야 등 시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기업 맞춤형 사업화 자문(컨설팅)을 제공하여 빠르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며, 기존 창업 기업인 14개팀에 대해서는 투자 및 영업전략 자문, 사업 모형 구조변경(리모델링), 사업 확장을 위한 투자유치 활동 등을 중점 지원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엄열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올해 인공지능 온라인 경진대회에 역대 최대인 526개팀이 참가한 점을 볼 때, 학생ㆍ개발자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매우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이번 대회를 통해 배출된 인공지능 새싹기업이 고속 성장하여, 우리나라가 초일류 인공지능 국가로 도약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NSP통신
(경북=NSP통신) 최병수 기자 = 대구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가 미래자동차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구대 전자전기공학부 전기공학전공 교수들은 전기차 등 미래자동차 관련 연구를 활발하게 하고 있으며, 학과 학생들은 미래형 자동차 경진대회에서 수상하는 등 관련 분야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전자전기공학부 전기공학전공의 정재우 교수 연구팀은 대구시에서 지원하는 ‘2022년 미래형 자동차 선도기술 개발사업’에 선정됐다.
이 사업은 ㈜메텍, ㈜센트랄모텍, 한국자동차 연구원과 공동으로 ‘x-EV 160kW급 구동모터용 로터리스웨이징 샤프트 및 마그네틱 스큐가 적용된 로터 어셈블리 개발’에 관한 것이다.
정 교수는 “전기차 대중화를 위해서는 EV 플랫폼의 부품 공용화를 RPA 리더 삼성SDS와 AI 기반 API·SDK 사업 확장 맞손 통한 비용 절감과 생산 볼륨 최대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이 전제되어야 한다”면서 “핵심 부품 연구에 대한 투자와 연구를 확대하고 전문 인력 양성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전공의 이강현 교수가 보유한 전기자동차 관련 특허 3건이 최근 기술보증기금에서 공모한 ‘2022년 중소기업 기술거래 활성화 지원사업’의 하나인 ‘공급기술 DB 고도화사업’의 공급기술에 선정됐다.
해당 특허 3건은 기술마케팅 키트 제작을 지원받을 뿐만 아니라 공급기술 DB와 기술거래 플랫폼인 ‘테크브릿지’에 올려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또한 이 전공동아리인 AIS 학생들은 최근 경상북도와 경산시, 산업통상자원부 후원으로 영남대학교 도심형 자율주행 플랫폼에서 열린 ‘2022 미래형 이동수단 자작 경진대회’에서 3위에 올랐다.
총 15개 팀이 참가한 이 대회에서 대구대 학생들은 실제 전기자동차의 1/5크기의 차체에 자율주행 기능을 위한 센서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등을 탑재한 자동차로 주행 테스트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강현 대구대 전기공학 학과장은 “대구대 전기공학전공은 미래형자동차 관련 기업이 원하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각종 인력양성사업에 참여하고 있다”면서 “특히 학과 자체적으로 전기인재양성발전기금을 조성해 2022학년에 이어 2023학년 신입생 전원에게 장학금을 지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NSP통신 최병수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한국의 경제뉴스통신사 NSP통신·NSP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