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차트 보는법 RSI 상대강도지수 보는법 매매방법
상대강도지수(RSI)는 J. Welles Wilder에 의해 개발된 오실레이터 지표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지표중의 하나이다. RSI는 Momentum이 가지는 두 가지 문제점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첫째는 모멘텀이 현재의 가격 변화는 미미함에도 불구하고 지표가 급격한 등락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지표의 두 값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범위에서만 움직이는 지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RSI는 필요한 평활화를 행하여 급격한 변화를 줄였을 뿐만 아니라, 0과 100 사이에서만 움직이기 대문에 모멘텀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부자가 되는 주식 투자 방법 복리의힘 시가총액 1위
주식 투자로 돈 버는 비법 하나를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아주 단순하지만 엄청난 수익률을 자랑하는 비기(秘技)입니다. 현실 가능한 것이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판단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RSI 계산식
RSI는 다음과 같은 계산식에 의해 구해진다.
여기서 RS는 상대강도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계산기간은 Wilder는 원래 14일의 기간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이보다 짧은 7일 혹은 9일을 사용하기도 한다.
괴리도(Divergence) 분석
가격은 신고가에 도달했으나 RSI는 이전보다 낮은 고점을 기록하고 하락할 때에는 약세괴리로 강력한 매도신호를 나타내고, 가격은 신저가로 하락했으나 RSI는 이전보다 높은 저점을 기록하고 상승할 때에는 강세괴리로 강력한 매수신호를 나타낸다.
패턴 분석
추세선, 저지와 저항, 이중바닥 등 전통적인 차트 분석 기법을 RSI에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RSI가 주가에 선행하여 이러한 패턴을 완성하기 때문에 유용성이 높다
과매수/과매도
RSI는 30 이하이면 과매도(Oversold) 상태, 70 이상이면 과매수(Overbought) 상태를 나타낸다. RSI가 과매도선 아래에서 위로 상승할 때 매수하고, 과매수선 위에서 아래로 하락할 때 매도한다.
파인스크립트로 RSI(상대강도지수) 지표를 만들어보자
RSI
파인스크립트로 RSI 지표를 만들어보자
트레이딩뷰 하단에 지표를 만드는 창이있다.
1. RSI는 어떤 지표일까?
상대강도지수(Relative Strength Index = RSI)는
주식, 선물, 옵션 등의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보조 지표입니다.
RSI는 가격의 상승 압력과 하락 압력 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냅니다.
1978년 미국의 월레스 와일더(J. Welles Wilder Jr.)에 의해서 만들어진 지표입니다.
더욱 자세하게 공부하고 싶다면 아래에 링크에서 참고하시면 됩니다.
2. 트레이딩 뷰에서 제공하는 RSI의 기본 소스코드
- version = 해당 지표의 버전을 나타냅니다.
- indicator = 지표의 제목과 부제목 기본적인 설정 등을 합니다.
- len = 인풋 값을 인트로 주고 기간을 14일로 정합니다.
- src = source의 약어입니다. close는 종가를 나타냅니다.
- up, down, rsi = RSI를 구하는 공식입니다.(굳이 안 외우셔도 됩니다.)
- plot = rsi를 차트 위에 빨간색으로 출력합니다.
- band1, bandm, band0 = hline(가로선)을 차트 위에 출력합니다.
- fill = band1, band0 사이에 배경을 출력합니다.
기본적으로 트레이딩 뷰에서 제공하는 RSI를 RSI 상대강도지수 보는법 매매방법 - 부(富)의 사다리 4 이용해서
아래에서는 이 내용에 추가적인 기능을 넣어서
조금 더 쉽고 간결하게 만들어보겠습니다.
3. 파인스크립트 지표의 버전 설정하기.
지표를 만들기에 앞서 어떤 언어를 사용할 건지에 대한 버전을 입력해야 합니다.
앞으로 다루게 될 내용에서는 버전 5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이유는 버전 5 밑으로는 트레이딩 뷰에서 리버전 하는 기능이 있기에 호환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또한 구현하는 함수들이 사용하기 쉽도록 더욱 간결해졌습니다.
4. RSI의 타이틀 설정하기
- title = 스크립트의 이름을 설정합니다.
- shorttitle = 스크립트에 단축된 이름을 설정합니다.
- overlay = 스크립트를 차트 위에 표시합니다.
- format = 스크립트의 플롯 된 값이 가격 척도에 사용하는 형식을 정의합니다.
- precision = 스크립트의 값에 나타나는 소수 자릿수를 설정합니다.
5. RSI의 함수 설정하고 라인 출력하기
버전 5 파인 스크립트에서는 ta.***라는 함수로 간단하게 지표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rsi는 (close, 기간=14)로 정의하고 출력해보겠습니다.
plot(차트 위에 rsi를 색상은 노란색, RSI 상대강도지수 보는법 매매방법 - 부(富)의 사다리 4 라인 굵기는 2로 출력합니다.)
6. RSI의 상단선 중간선 하단선 설정하기
color=color.new(color. 색상, 0~100)
color.new 함수로 색상과 투명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linestyle=(hline.style_dotted // hline.style_solid // hline.style_dashed)
라인의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7. RSI의 과매도 구간 과매수 구간 색칠하기
editable이라는 함수로 차트 테이블 RSI 상대강도지수 보는법 매매방법 - 부(富)의 사다리 4 위에 표시하지 않습니다.(숨김 처리)
fill이라는 함수로 과매도 구간 과매수 구간에 색을 칠해줍니다.
8. 최종 RSI 보조지표 소스코드
최종본
주식 하나씩
이번 포스팅에서는 RSI 상대강도지수 보는법 매매방법 - 부(富)의 사다리 4 주식 매매기법 중 보조지표 RSI를 활용한 매매기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추후에도 언급하겠지만, 이러한 매매기법에 100%는 절대 없기 때문에 말 그대로 보조, 참고 용도로만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RSI매매기법
RSI의 의미
RSI는 상대강도지수(Relative Strength Index)를 의미하는 투자지표로 주식, 선물, 옵션 등에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지표로 현재 가격 상승 압력과 하락 압력 간의 상대적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SI는 1978년도에 미국의 '월레스 와일더'라는 분이 만든 개념이라고 하며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판단하기 용이합니다.
다른 보조지표인 스토캐스틱과 유사한 지표라고 하네요. 참고로 RSI는 나름 유명한 보조지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RSI 계산 방법
RSI 계산은 그리 막 어려워 보이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쉬워 보이지는 않습니다.
RSI = (전체상승폭/(전체상승폭 + 전체 하락폭)) * 100이라고 합니다. 만약 기간을 14일 정도로 가정했을 때, 그 기간 동안 18% 주가가 오르고 2% 가격이 내려갔다면 RSI지표는 90이 되는 식인 것입니다.
사실 계산식은 그리 중요하지 않고 이를 어떻게 주식 매매에 활용할 수 있는지가 관건일 것입니다.
RSI를 활용한 매매
삼성전자의사례
우선 우리나라 대표적인 기업 '삼성전자'의 일봉 차트에 RSI를 적용해봤을 때, 위와 같은 차트가 보입니다. 저기서 집중 있게 봐야 할 부분은 화살표들이 가리키는 부분인데요.
파란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은 RSI가 30 미만일 때, 즉 과매도 구간을 의미하고 있으며, 빨간색 화살표가 가리키는 부분은 RSI가 70 초과일 때, 즉 과매수 구간을 의미합니다.
저 구간과 위 차트상 주가 이동흐름을 보시면, RSI 30 미만 과매도 구간에서는 주가가 하락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RSI 70 초과 과매수 구간에서는 주가가 상승하는 흐름이 보입니다. 즉 RSI가 70 이상일 때 매수하는 게 현명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여러분이 홀딩하고 있는 종목의 RSI가 30 밑으로 하락하는 경우에는 빠르게 손절하는 것도 전략이 될 수 있을 겁니다.
물론 다른 차트들도 보시면 저게 100% 들어맞는 매매기법은 절대 아닙니다. 하지만 그래도 확률을 꽤 보장해주는 보조지표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여담이지만 RSI 지수가 계산 될 때 '기간'은 여러분이 설정할 수 있으니 좀 잘 들어맞는 거 같은 기간도 잘 찾아서 설정해보시길 바랍니다.
RSI 상대강도지수, RSI 다이버전스 및 그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많은 차트 분석가들이 애용하는 지수 중 하나인, RSI와 다이버전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로, 주가 상승 또는 하락의 상대적인 강도를 의미하는 지표입니다.
일정 기간 동안, 현재 주가가 전일 주가에 비해 상승 또는 하락한 변화량의 평균값을 구하여 상승폭이 RSI 상대강도지수 보는법 매매방법 - 부(富)의 사다리 4 크면 과매수(초과매수), 하락폭이 크면 과매도(초과매도)로 판단합니다.
(RS : N일간의 상승폭 평균 / N일간의 하락폭 평균, 여기서 N은 14일을 많이 사용)
여기서 RSI가 70% 이상일시 과매수 국면으로 매도 전략 , 30% 이하일시 과매도 국면으로 매수 전략 을 펼칩니다.
RSI는 과매수, 과매도 국면에 모두 사용하는 것보다는, 한 방향을 기점으로 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상승장에서는 과매수 국면이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이럴때는 진입시에만 매수 시점으로 활용하고, 하락장에서는 과매도권이 자주 RSI 상대강도지수 보는법 매매방법 - 부(富)의 사다리 4 나타나기 때문에 진입시에만 매도 시점으로 활용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RSI만을 믿고 투자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30% 이하로 떨어졌다고 해서 무작정 매수에 들어간다면, 30 미만으로 계속해서 떨어졌을 때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여느 지표와 마찬가지로, RSI 하나만 믿고 투자에 임해서는 실패할 수 밖에 없습니다.
위 월트디즈니 차트와 같이, 2021년 11월 이후 RSI 30% 이하에 도달했음에도 계속해서 뚫고 내려가는 것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다이버전스란, 주가의 추세와 보조지표의 추세가 역으로 움직이는 현상입니다.RSI 상대강도지수 보는법 매매방법 - 부(富)의 사다리 4
특히 위의 그림의 보조지표가 RSI일 때, 더욱 강력한 힘을 발휘하곤 합니다.(수많은 RSI 상대강도지수 보는법 매매방법 - 부(富)의 사다리 4 차트 트레이더들이 이 지표를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주가(시세)는 대폭 상승하여 신고가를 갱신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강도지수인 RSI는 전고점을 갱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 경우 상승 추세가 약화되고 있다는 신호 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2021년 말 가격을 보면, 가격은 전고점을 갱신하여 상승하였지만 같은 시기 RSI는 그에 비해 덜 상승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가격 상승폭 둔화)
이는 위의 다이버전스 그림에서 일반다이버전스 1번째에 해당 하는 것으로, 이후 가격은 폭락했습니다.RSI 상대강도지수 보는법 매매방법 - 부(富)의 사다리 4
이처럼 RSI 다이버전스는 고점이나 저점을 예측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RSI 및 RSI 다이버전스는 많은 트레이더들이 참고하고 있는 강력한 지표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하지만 그들도 하나의 지표만을 맹신하는 것을 가장 경계합니다. 그랬다간 무조건 피눈물을 흘리게 되어있습니다. 보조지표는 하나만이 아닌 다른 지표들과 복합적으로 사용할때 그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