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려드립니다!
광주, 세종/대전 등의 국내 지사 뿐만
아니라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의
해외파트너와 함께하고 있습니다.
1666-6950
카카오톡 ID : haniedu
통화명 | 환율 |
USD(미국) | 1,364.60 |
---|---|
EUR(유로) | 1,357.61 |
CNY(중국) | 197.32 |
AUD(호주) | 926.77 |
CAD(캐나다) | 1,037.52 |
NZD(뉴질랜드) | 830.00 |
환율정보 (외환은행 기준)
Currency Rate
통화 | 통화명 | 환율 |
USD | USD(미국) | 1,364.60 |
EUR | EUR(유로) | 1,357.61 |
CNY | CNY(중국) | 197.32 |
AUD | AUD(호주) | 926.77 |
CAD | CAD(캐나다) | 1,037.52 |
NZD | NZD(뉴질랜드) | 830.00 |
하니에듀는 여러분의 보다 큰 꿈을 응원합니다.
(우07238)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2길 4, IBPIA빌딩 5층 (대표이사 : 현영숙) / 사업자등록번호 : 220-87-87882
상담 전화 : 1666-6950 / FAX : 0507-890-9539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email protected]
금융 직업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우리의 생활을 풍성하게 해 주는 금융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많은 사람과 직업들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금융 관련 직업인으로는 은행이나 증권회사 등 금융회사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곳에서 일하는 대부분의 직원들은 고객을 직접 만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합니다.
은행 직원 은행의 직원들은 개인이나 기업으로부터 자금을 보관·위탁하는 일(수신업무)과 시중에 있는 유휴 자금과 은행 자본을 합해 자금을 모아 대출하는 일(여신업무)을 합니다. 증권회사 직원 증권회사 직원들은 기업이 자금 조달을 위해 증권을 발행하여 증권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업무와 투자자들을 대신해서 증권을 매매해 주는 업무, 그리고 증권회사 고유의 자본금으로 증권을 사고파는 일을 합니다. 펀드매니저 펀드매니저는 금융회사에서 고객으로부터 받은 자금을 전문 지식에 근거한 판단으로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여 그 결과를 투자자들에게 돌려주는 일을 합니다. 외환딜러 외환 시장의 추이를 분석하고 외환의 현물·선물을 매매하는 사람으로, 기업 고객을 상대하는 딜러와 외환 시장에서 외환을 사고파는 업무를 하는 딜러로 나뉩니다. 금융리스크매니저 국내외 주식, 채권, 외환 시장 등을 분석하여 기업과 국가에 닥칠 수 있는 미래의 위험을 예측하고 손실을 최소화하는 일을 합니다. 외환 위기 이후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기업의 경영 전반에 영향력을 끼치고 있습니다. 애널리스트 국내외 경제 상황이나 산업·기업별 정보, 주식 시장 및 파생 상품 시장을 분석하여 보고서로 작성하고 발표하며, 이에 따른 투자전략을 수립합니다. 수학적인 사고력이나 거시 경제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손해사정인 각종 보험 사고로 생긴 손해에 대해 그 손해액과 보험금을 산정하는 일을 담당합니다. 보험 계약자나 사고 외환 소개 피해자의 권리를 위해 보험회사는 손해사정인을 고용합니다. 보험설계사 보험 가입 대상자를 대상으로 각 보험 상품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하고 보험 상품을 안내하며 권유하는 일을 합니다. 개인이나 기업 고객의 재정 상태, 건강 상태, 미래 계획 등을 파악하고 보험에 가입하는 절차나 보험료 납입 방법, 보험금의 지급 방식과 시기 등에 대해 설명합니다. 보험계리사 수학, 확률, 통계적 방법을 이용해 보험의 위험률을 측정하고 적절한 보험료를 산출하는 일을 합니다. 여러 보험 상품 관련 제도를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보험 상품을 개발하며, 보험회사의 손익을 계산하고 경영 지표를 제시합니다. 선물거래중개인 국내외 선물 시장에서 투자 고객에게 선물 거래의 매매 위탁을 권유하고, 고객을 위해 선물 거래 관련 사항을 상담하며 거래를 중개합니다. 원유나 농산물, 금, 은, 금리, 주가 지수 등 다양한 상품들을 취급합니다.
* 더 자세한 정보는 워크넷 홈페이지 > 금융·보험관련직(클릭)에서 확인하세요!외환 소개
금융인이 되려면? 금융회사와 관련된 직업 중에는 경제나 금융 분야에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갖춰야 하는 전문직이 많습니다. 그래서 금융인이 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에 대한 관심과 함께 필요한 전공을 이수해야 하고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금융·보험학과 금융산업의 성장에 따라 급격한 발전을 보이고 있는 보험, 인터넷 금융, 부동산 중개 분야 등으로의 진출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배우는 실용적인 학과입니다. 경제학과 경제현상을 이해하는 경제적 사고방식과 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능력, 국가 및 세계의 경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력 등을 기르는 학문입니다. 경영학과 경영학은 기업에 속하는 구성원의 행동방식을 분석하고 조직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전문지식을 연구하는 실용적인 학문으로, 마케팅, 생산관리, 인사관리, 재무관리, 경영정보, 국제경영 등 다양한 세부 분야로 구성됩니다. 수학과 수학은 여러 자연현상이나 사회현상을 추상화 및 계량화시켜 이를 설명하고 분석하여 본질적 성질에 대해 설명하는 학문입니다.
공인회계사(CPA) 회계 감사와 세무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가입니다. 법인 설립에 관한 회계와 세무 조정 계산서 작성, 국세심판 청구대리, 세무에 대한 자문 등의 업무를 주로 하며, 자격시험은 금융감독원에서 주관합니다(cpa.fss.or.kr). 보험계리사 보험은 대수의 법칙과 수지상등의 원칙 등 보험수리적 원리에 기초하여 성립된 제도로서, 이러한 보험수리와 관련된 제반업무를 수행하는 자가 보험계리사이며 자격시험은 금융감독원에서 주관합니다. 보험중개사 보험회사별로 상이한 보험상품의 담보내용 및 요율, 조건을 비교하여 보험계약자에게 정확한 보험상품정보를 전달하고 독립적으로 보험계약자와 보험회사 사이에서 보험계약 체결을 중개하거나 그에 부수하는 위험관리 자문업무를 담당합니다. 자격시험은 금융감독원에서 주관합니다. 손해사정사 보험사고 발생시 손해액 및 보험금의 산정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자로서 보험금지급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여 보험계약자나 피해자의 권익을 침해하지 외환 소개 않도록 해주는 일, 즉 보험사고발생시 손해액 및 보험금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산정하는 업무를 합니다. 자격시험은 금융감독원에서 주관합니다. 증권(펀드)투자권유대행인 금융투자회사로부터 투자 상품을 위탁받아 투자자에게 외환 소개 권유하는 역할을 합니다. 상품을 직접 매매하거나 체결할 수는 없으며, 자신이 판매한 수익의 일정 부분을 보수로 받습니다. 한국금융투자협회(http://license.kofia.or.kr)에서 자격증 시험을 주관합니다. 투자자산운용사 집합 투자 재산이나 신탁 재산 등을 운용하는 업무를 하는 사람으로, 펀드매니저라고도 합니다. 고객별로 종합적인 자산 운용전략을 수립하여 맞춤형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한국금융투자협회에서 자격증 시험을 주관합니다.
국제공인재무설계사(CFP) 은행이나 부동산, 투자와 세금 문제 등 금융 분야의 전반적인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고객의 특성에 맞는 종합금융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전문가로, 금융권 최고 난이도의 자격 시험을 치르게 됩니다. 미국의 CFP(Certified Financial Planner) 보드가 시행하는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 개인재무설계사(AFPK) 자격증을 먼저 취득해야 합니다. 국제재무분석사(CFA) 미국투자관리 및 연구협회인 CFA Institute에서 증권 금융, 재무관리 분야에 부여하는 자격으로,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습니다. 3단계의 필기 시험에 합격하고, 4년 이상의 실무 경력을 인정받아야 합니다. 공인재무분석사 또는 국제재무분석사라고 하며 CFA(Chartered Financial Analyst)로 줄여 쓰기도 합니다. 애널리스트, 펀드매니저 등으로 활약할 수 있습니다.
기록물 상세검색검색가이드
기록물 원문검색
원문이미지를 제공하는 기록물들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원문이미지를 제공하는 기록물들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외환 소개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토지기록물
일제강점기부터 정부수립 직후까지 생산된 토지 임야대장, 지적ㆍ임야원도 등 지적 기록물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정부에서 발행한 관보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국무회의록
국무회의록, 차관회의록, 안건철 등 국무회의 기록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정부간행물
공공기관에서 발행한 간행물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독립운동 판결문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관련된 판결문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일제강점기 피해자명부
3.1운동 피살자, 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외환 소개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일제강점기 건축도면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학교, 형무소, 병원, 지방청사 등의 설계원도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일제강점기 기록물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 의해 생산된 기록물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 외환관리제도
주제유형 | ![]() |
---|---|
하위주제 | 단일환율 결정에 관한 한미공동성명 외국환매각집중제 외국환예치집중제 |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군정법령」 제 93 호 , 1946.7
「대외무역거래 및 외환취급규칙」 대통령령 제 132 호 , 1949.6
「외국환 계정에 관한 규정」 , 1961.2
외환관리는 좁게는 민간의 외환거래에 대해 정부가 실시하는 여러 가지 제한을 의미하나 , 넓게는 환율에 영향을 주는 국가의 모든 간섭을 지칭하며 , 외환의 대외 거래 및 유출입과 관련된 제반 시스템에 대한관리를 뜻한다 . 이러한 외환관리의 목적은 국내외 경제여건과 국제수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데 있다 . 우리나라의 외환관리는 1980 년대까지는 부족한 외환 확보와 효율적 사용의 도모를 위한 규제 목적이 강하였다. 그러나 1990 년대 들어 외환자유화를 추진하기 시작하면서 자유로운 외환거래 및 대외거래를 보장하고 시장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대외거래의 원활화 , 국제수지의 균형 및 통화가치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변화되었다 .
우리나라의 외환관리제도는 1946년 1 월 관련 법규의 효시라 할 수 있는 군정법령 제 39 호 「대외무역규칙」이 제정되고 , 이어 군정법령 제 93 호 「외국과의 교역통제」가 제정되어 부족한 외환의 효율적 사용에 중점을 두고 모든 무역과 외환거래에 대하여 엄격한 면허제를 실시하면서 시작되었다 .
이 후 민간무역과 외환거래가 점차 활발해짐에 따라 보다 현실에 부합되는 외환정책을 수립하고자 1949 년 6 월 대통령령 제 132 호로 「대외무역거래 및 외국환 취급규칙」을 제정하였다 . 이 규칙에 따라 대외무역에 의해 취득한 외환을 조선환금은행에 예치하고 , 외환매입은 사전 수입허가나 외환매입 허가를 받은 자로 국한하는 외국환예치집중제도를 도입하였다 . 1950 년 5 월 제정된 법률 제 138 호 「한국은행법」의 시행을 계기로 한국은행이 일체의 외환업무를 조선환금은행으로부터 승계받아 우리나라의 대외결제준비금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유일한 외국환은행으로서 일반 외환관련 업무도 담당하였다 .
제 1 차 경제개발 5 개년 계획 의 착수와 함께 수출증대로 외화획득이 늘어나면서 복잡다기한 법률 , 고시 , 규정을 통합하여 1961 년 12 월 「외국환관리법」을 제정하였다 . 이에 따라 과거 외환지급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던 체제를 외화 획득과 사용을 관리하는 체제로 전환하였고 , 모든 외국환을 한국은행에 매각하도록 하는 외국환매각집중제도를 시행하였다 . 이와 더불어 한국은행만 취급하였던 외환업무를 1962 년 4 월 5 개의 시중은행이 정부승인을 얻어 을종 외국환업무를 개시하였으며 1967 년 1 월 한국외환은행이 설립되었다 . 1964 년 5 월 3 일 에는 해방 이후 약 20 년 동안 시행되어 온 복수환율제도를 폐지하고 단일변동환율제도를 시행하였다 .
1973 년 제 1 차 유가파동과 국제 외환 소개 원자재가격 폭등으로 무역수지 적자가 급증함에 따라 1970 년대 초반의 외환관리는 불요불급한 수입을 억제하고 외화자금을 최대한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 이에 따라 외국환은행의 외화예금 유치와 차관도입을 촉진하고 수출선수금 영수의 허용범위를 확대하는 한편 수입억제를 위해 수입담보금제도를 강화하였다 . 이러한 외환규제 강화조치와 함께 1976 년 중동지역 해외건설 수주 증가와 세계경기 회복에 따른 수출증대로 국제수지가 급격히 개선되었다 . 이런 국제수지 개선과 세계적인 무역자유화 추세에 맞추어 수입자유화 조치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해외여행경비의 지급한도를 늘리는 등 외환관리를 완화하기 시작하였다 .
1980 년 2월에는무역규모 확대 , 개방압력 증대 등 대내외 경제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환율제도를 복수통화바스켓제도로 변경하였다 . 또한 , 외국투자 전용펀드를 통한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를 허용하는 등 제한된 범위에서 국내 자본시장을 처음으로 개방하기 시작하였다 . 1980 년대 중반 이후에는 경상수지가 흑자로 전환되어 해외로부터의 지금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해외여행 경비 등 경상적인 외환지급과 해외직접투자 등 자본거래와 관련된 외환의 유출에 대한 제한도 완화하기 시작하였다. 1988 년 11 월에는 경상지급에 대한 제한 철폐 의무를 지니는 IMF 8 조국으로 이행하였다 .
외환보유고 괜찮나… IMF 기준 못미쳐
환율방어에 소진… 235억 달러 증발 상승재료 없어 사실상 유일 수단 당국 "큰 의미없다" 선 긋기
▲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 대응 센터에서 은행원이 달러를 점검하고 있다.ⓒ뉴데일리DB
2일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1355원 내외로 거래되고 있다. 전일 종가 1354.9원을 웃도는 가격이다. 장중 한때 전날 기록한 연고점 1355.1원을 갈아치우는 1357.4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는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4월29일(1357.5원) 이후 최고 수준이다.
미국 연준은 3연속 자이언트스텝을 예고하고 있고, 금리인상을 주저하던 유럽도 빅스텝에 이어 자이언트스텝 가능성을 내비쳤다. 지난 7월 22년만에 기준금리 0.5%p 인상한 유럽중앙은행은 이달 0.75%p, 10월 0.5%p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달 9.1% 폭등한 소비자물가지수 영향 탓이다.
원화가치가 상승하려면 미국과 통화스와프 체결이나 무역수지가 흑자로 돌아서고, 기준금리 인상 가속 등이 필요하지만 현 상황에서 쉽지 않다. 8월 무역수지는 외환 소개 94억7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무역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56년 이래 66년만에 최대 적자폭이다. 지난 4월부터 이어진 5개월 연속 적자 기록도 2008년 4월 이후 14년만이다.
외환당국의 구두개입은 사실상 힘을 잃은 상태다. 외환당국은 환율 1345원이 돌파한 지난달 23일 "글로벌 달러 강세에 기인한 환율 상승 과정에서 역외 등을 중심으로 한 투기적 요인이 있는지 면밀히 외환 소개 점검하겠다"고 했지만, 치솟는 환율을 잡진 못했다. 외환 당국은 올해 4차례 공식 구두개입에 나섰지만, 모두 원화 가치 상승으로 작용한 사례는 없었다.
남은 방안은 달러를 팔아 원화를 사들이는 것 뿐이지만 외환보유고는 넉넉치 않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386억1000만달러로 지난해 말 대비 253억달러 줄었다. 환율이 상승세를 타기 시작한 지난 3월부터 6월까지만 234억9000만달러가 증발했다.
외환보유액은 국제통화기금(IMF)가 권고하는 수준에도 못미치는 실정이다. IMF는 연간 수출액의 5%, 시중통화량의 5%, 유동외채의 30%, 외국환 증권 및 기타투자금 잔액의 15%를 합한 규모의 100% 이상을 적정 외환보유액으로 평가한다. 우리나라 지난해 외환보유액은 기준의 98.94%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