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의 진화과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Hanyang University repository

Title 콘텐츠 유통플랫폼으로서 모바일 메신저의 발전 방안 연구 Other Titles As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Study on Development of Mobile Instant Messaging : - Focusing on 'LINE' and 'KakaoTalk' Author 권세영 Alternative Author(s) Seyoung Kwon Advisor(s) 김영재 Issue Date 2015-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과 빠른 LTE 이동통신의 대중화로 정보통신산업(ICT :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생태계는 이미 PC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바뀌었다. 이로 인해 ICT 분야에서는 전통적인 산업 영역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으며 이종 산업 간 동종 제품이나 서비스들이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서비스는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이다.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는 기존의 통신 서비스와 구별되는 몇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기존 통신서비스에 비해 무료에 가까운 저렴한 사용료이다. 둘째는 접근성이 좋다는 점이며 셋째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텍스트 외에도 다양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모바일 메신저는 일상에서 필수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콘텐츠 산업의 중심이 디지털콘텐츠 산업으로 급속히 이동하고 있으며 디지털콘텐츠들은 과거 콘텐츠 플랫폼들의 진화과정을 거처 디지털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유통되고 있다. 또한 본격적인 모바일 환경으로 진입하면서 모바일 메신저는 콘텐츠 유통플랫폼으로 발 빠른 진화를 하고 있다. 이제 모바일 메신저는 단순한 메세징의 역할만 담당하지 않는다. 콘텐츠 플랫폼 시장에 진출하려는 IT기업의 선봉장 역할을 톡톡히 해내는 한편, 자체 플랫폼으로 수익까지 담보하는 맹활약을 펼치고 있다. 콘텐츠 유통플랫폼은 문자, 음향,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디지털콘텐츠가 제공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되는 과정을 돕는 플랫폼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구매라는 방식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콘텐츠 유통플랫폼은 거래소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재 모바일에서의 콘텐츠 유통플랫폼은 디바이스 및 OS 사업자인 애플의 앱 스토어와 구글의 플랫폼의 진화과정 구글 플레이로 양분된 가운데 최근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카카오톡·라인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 등이 가세하는 양상이다. 또한 디지털콘텐츠 유통플랫폼 시장은 모바일의 범위를 넘어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나 파이어폭스의 브라우저와 같은 인터넷 웹브라우저에까지 확장되고 있으며 시장 쟁탈 경쟁은 더욱 격화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콘텐츠 유통플랫폼으로서 모바일 메신저의 미래와 발전 방안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디지털콘텐츠 유통플랫폼인 애플과 구글의 플랫폼을 분석하여 핵심 전략 요소를 살피고 이를 국내의 대표적인 모바일 메신저인 라인 및 카카오톡의 사례를 통해 분석하여 우위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메신저의 콘텐츠 유통플랫폼으로서의 미래와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이론적 고찰로 우선 콘텐츠 유통플랫폼의 진화과정과 모바일 환경에서의 콘텐츠 유통플랫폼에 대해 살펴보았다. 스마트 플랫폼인 애플의 앱 스토어와 구글의 구글 플레이, 그리고 소셜 플랫폼인 페이스북의 발전 전략 분석을 통해 콘텐츠 유통플랫폼의 핵심 전략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와 함께 모바일 환경에 힘입어 급속히 성장한 모바일 메신저의 현황과 변화된 위상, 그리고 플랫폼으로서의 잠재력을 살폈다. 이어 모바일 메신저의 사례인 네이버의 라인과 다음카카오의 카카오톡을 콘텐츠 유통플랫폼의 핵심 전략 요소 측면에서 분석하고 두 모바일 메신저 간의 플랫폼화 과정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콘텐츠 유통플랫폼의 미래를 전망하는 한편 콘텐츠 유통플랫폼으로서 모바일 메신저 플랫폼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스마트폰의 등장과 빠른 통신환경이 갖춰지면서 모바일 메신저가 콘텐츠 유통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확고한 위상을 구축해나가고 있다. 관련 시장도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막강한 경쟁력을 가진 해외 플랫폼을 통한 국내 콘텐츠 시장 잠식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높다. 최근 삼성전자가 서비스하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인 챗온을 포기한 사례를 통해 근본적인 발전 방안 연구의 필요성은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국내의 대표적인 모바일 메신저인 라인과 카카오톡의 콘텐츠 유통플랫폼으로서의 발전 방안 모색은 이러한 점에서 현실적으로 연구적 의의를 갖는다.|With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worldwide rapid LTE mobile communication ICT(ICT :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ecosystem had already turned into a mobile center on the PC. This disappeared in the ICT sector boundaries of traditional industrial areas and homeopathic products or services between different industries are engaged in fierce competition in the market. The most notable being serviced in these circumstances is a mobile messenger service. Mobile messenger service has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existing communication services. The first is the low access near the free compared to conventional communication services. Second, access points, and the third is that it is good that the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ext. This characteristic Mobile Messenger has become an essential means of communication in daily life. The center of the content industry has been moving rapidly to digital content industry, digital content can be distributed through the living quarters of the past evolution of digital content platform content platform. In addition, while a full-fledged entry into the mobile environment, mobile IM has the swift evolution as a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Now only mobile messenger is not responsible for acts of simple messaging. The role of IT has done a seonbongjang companies that want to enter the market toktokhi content platform, and I use that equity to profit by carrying out its own platform.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character, sound, image, video and various digital content refers to a platform that helps the process of distribution to the consumer from the provider. Since the transfer to the consumer in a manner that can be obtained from this process is that the distribution platform exchange role. Current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for mobile is a tendency to include in addition the device and OS providers, Apple's App Store and Google Play of the nutrients in the recent Google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such as Facebook and Kakao-line, such as mobile I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market has been extended to the Internet web browser such as Firefox or Google's Chrome browser, mobile browser, and are beyond the scope of market competition is more intense fight.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future of content distribution and development plans as a platform mobile messenger. Analysis of the leading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Apple and Google's platform for them to salpigo a key strategic element analyzes it using the example of a typical mobile messenger and KakaoTalk domestic lines derived an advantage factor. Based on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as the future of mobile IM and development plans.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r them to first looked at the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in the evolution of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s and mobile environments. Smart platform, Apple's App Store and Google Play, Google, and social platforms is a key strategic element in the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through the development of strategic analysis and extracted Facebook. In addition, current status and changes the phase of the rapidly growing mobile IM, thanks to the mobile environment, and explored as a potential platform. Following analysis of the line and then Kakao Kakao case of Naver's mobile messenger in terms of key strategic elements of a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the platform development proces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mobile messenger. Based on this, as while you view the future of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sought to develop ways of mobile IM platform. The emergence and rapid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smart phones 플랫폼의 진화과정 equipped with a mobile messenger As has built a solid phase-out of the new platform content distribution. The market is also growing rapidly. However, concerns about the domestic content market encroachment by foreign platform with a powerful competitive advantage is still high. Recently, Samsung Electronics is a need for a fundamental development strategies through case studies was abandoned mobile messenger service ChatON services can be seen even greater. Representative of the messenger line and mobile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as KakaoTalk development plan of the country has sought to study practical significance in this regard.
With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worldwide rapid LTE mobile communication ICT(ICT :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ecosystem had already turned into a mobile center on the PC. This disappeared in the ICT sector boundaries of traditional industrial areas and homeopathic products or services between different industries are engaged in fierce competition in the market. The most notable being serviced in these circumstances is a mobile messenger service. Mobile messenger service has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existing communication services. The first is the low access near the free compared to conventional communication services. Second, access points, and the third is that it is good that the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ext. This characteristic Mobile Messenger has become an essential means of communication in daily life. The center of the content industry has been moving rapidly to digital content industry, digital content can be distributed through the living quarters of the past evolution of digital content platform content platform. In addition, while a full-fledged entry into the mobile environment, mobile IM has the swift evolution as a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Now only mobile messenger is not responsible for acts of simple messaging. The role of IT has done a seonbongjang companies that want to enter the market toktokhi content platform, and I use that equity to profit by carrying out its own platform.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character, sound, image, video and various digital content refers to a platform that helps the process of distribution to the consumer from the provider. Since the transfer to the consumer in a manner that can be obtained from this process is that the distribution platform exchange role. Current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for mobile is a tendency to include in addition the device and OS providers, Apple's App Store and Google Play of the nutrients in the recent Google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such as Facebook and Kakao-line, such as mobile IM. The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market has been extended to the Internet web browser such as Firefox or Google's Chrome browser, mobile browser, and are beyond the scope of market competition is more intense fight.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future of content distribution and development plans as a platform mobile messenger. Analysis of the leading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Apple and Google's platform for them to salpigo a key strategic element analyzes it using the example of a typical mobile messenger and KakaoTalk domestic lines derived an advantage factor. Based on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as the future of mobile IM and development plans.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r them to first looked at the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in the evolution of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s and mobile environments. Smart platform, Apple's App Store and Google Play, Google, and social platforms is a key strategic element in the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through the development of strategic analysis and extracted Facebook. In addition, current status and changes the phase of the rapidly growing mobile IM, thanks to the mobile environment, and explored as a potential platform. Following analysis of the line and then Kakao Kakao case of Naver's mobile messenger in terms of key strategic elements of a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the platform development proces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mobile messenger. Based on this, as while you view the future of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sought to develop ways of mobile IM platform. The emergence and rapid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smart phones equipped with a mobile messenger As has built a solid phase-out of the new platform content distribution. The market is also growing rapidly. However, concerns about the domestic content market encroachment by foreign platform with a powerful competitive advantage is still high. Recently, Samsung Electronics is a need for a fundamental development strategies through case studies was abandoned mobile messenger service ChatON services can be seen even greater. Representative of the messenger line and mobile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as KakaoTalk development plan of the country has sought to study practical significance in this regar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2882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663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NOVATION[E](이노베이션대학원) > DEPARTMENT OF CULTURE & CONTENTS(문화콘텐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플랫폼의 진화과정

강좌보기

안녕하십니까. SBS 뉴미디어국의 하현종 기자입니다. 자 이번 시간에는 대중매체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그리고 최근에 모바일 매체까지 어떻게 이어지는지에 대해서 같이 얘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 대중매체를 통한 어떤 뉴스라는 것은 사실 당대의 기술과 무관했던 적이 역사적으로 단 한 차례도 없었습니다. 기술의 발전 즉 보다 싸게 보다 대량으로 보다 빠르고 보다 편하게 더 많은 사람들한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당대의 어떤 미디어 기술 발전에 따라서 뉴스도 발전하고 변화해왔습니다.
페니프레스 이후에 신문뉴스가 산업화되던 초기에는 철도망이 정보유통 플랫폼 역할을 수행해왔습니다. 여러분들 철도가 정보유통 플랫폼이었다, 라고 생각을 해보신 적이 혹시 있으신가요? 그런데 그 과거에 자동차라든가 어떤 교통수단이 그렇게 발전하지 않았던 시절을 한 번 생각을 해보십시오. 미국에서 동부에서 서부로 소식을 전달하거나 서부의 소식을 동부로 전달할 때 가장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 바로 철도였습니다. 다시 말해서 윤전기로 신문을 대량으로 찍어가지고 이거를 기차에 실어가지고 동부에서 서부 또는 서부에서 동부로 실어 나르는 방식이 가장 빠른 그런 방법이었습니다. 기차에 실린 신문들, 기차의 철도망을 통해서 퍼져나가는 신문이라는 게 결국 스트레이트, 다시 말해서 속보 매체 역할을 담당을 해왔던 겁니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지금 그냥 오락매체로 알고 있는 영화가 처음에 등장 초기에는 역시 당시의 당대의 스트레이트 즉 속보 뉴스매체로서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영화란 건 잘 아시는 것처럼 1896년에 뤼미에르 형제가 필름 영화를 발명을 한 이후에 이제 등장을 하게 됐는데 당시에 세계대전 같은 그런 전쟁 상황에서 일반인들이 접근이 불가능한 어떤 실제로 전투가 벌어지는 전선에서의 상황을 영상으로 담아가지고 대중들한테 전달을 많이 하면서 그 영향력을 키워 왔었습니다. 그 이후에 1900년도에는 라디오가 개발이 됐고 1930년도에 TV가 개발이 되면서 그때부터 영화는 스트레이트 뉴스매체로서의 어떤 기능을 잃게 됩니다.
그러고 나서 매체 속성이 오락, 드라마, 어떤 극영화 쪽으로 속성이 바뀌게 됩니다. 라디오와 TV도 당시 즉 1900년대 초중반까지는 최신 기술의 집합이었고요. 영화에 비해서 접근도 훨씬 편했습니다. 왜냐하면 영화관에 굳이 가지 않고 자기 집에서 어떤 전자제품의 전원을 켜기만 하면 실시간으로 오디오와 비디오를 통해가지고 정보를 접할 수가 있었기 때문이죠. 또 촬영을 해가지고 편집을 한 필름을 영사기에 걸어야 하는 그런 과정들이 불필요했고요. 방송사에서는 또 바로바로 라이브를 진행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즉 실시간으로 방송을 하면 불과 1,2초도 안 돼가지고 각 가정에서 방송사의 라이브를 청취하거나 볼 수가 있었던 겁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라디오 뉴스와 TV뉴스 리포트 형식도 바로 이때부터 비롯된 겁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를 따져보면요, 1970년대에 CBS 라디오에서 등장한 포맷 즉 앵커 리드멘트를 읽고 그다음에 기자 콜을 하면 기자가 이어받아가지고 정리된 내용을 리포트를 읽어주는 이런 전형적인 뉴스 포맷이 70년대에 CBS에서 개발을 해가지고 등장을 했고요. 그 이후에 이 형식을 TV뉴스가 차용을 했고 여기에 영상을 덧입히면서 바로 우리가 매일 밤 접하고 있는 TV뉴스 리포트 형식이 완성이 된 겁니다. 이걸 또 바꿔서 얘기해보면요, TV뉴스 리포트 형식은 지난 삼사십 년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다, 라고 얘길 할 수가 있는 겁니다. 여러분 뉴스는 언제나 당대의 기술이 집약된 최신 정보 유통망 즉 플랫폼을 중심으로 발전을 해왔었습니다. 라디오가 TV가 등장하면서 본격적인 대중매체 시대가 열렸고, 어떤 대중매체라는 것이 거대한 산업으로 발전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수십 년 동안 군림을 해왔죠. 언제까지? 바로 최근에 뉴미디어라는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그랬었습니다.
여러분 최근에는 TV나 라디오 이른바 올드미디어라고 불리고 있죠. 그리고 이 올드미디어의 상대적인 개념으로 뉴미디어라는 표현들이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기억을 해야 되는 것은요, 바로 이 올드와 뉴라는 개념이 항상 상대적인 개념이라는 것입니다. 통상 요즘 우리가 말하는 올드미디어라는건 이제 TV와 라디오를 뜻하게 되는데 반대로 뉴미디어 같은 경우에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매체를 뜻하죠. 하지만 사실 TV와 라디오도 과거 당대에는 그 이전 매체에 비해서는 굉장히 혁신적인 뉴미디어였습니다. 다시 말해서 영화가 처음 등장했을 때 신문은 올드미디어가 됐고요. 라디오와 TV가 등장했을 때는 다시 영화가 올드미디어가 됐습니다. 즉 영화가 한참 인기를 얻었을 때 나왔던 새로운 기술 라디오와 TV라는 게 바로 그때는 뉴미디어였던 겁니다.
TV라는 매체가 한 1930년대 40년대에 등장을 했으니까 한 70년 정도 가까이 굉장히 큰 영향력을 발휘해왔었는데3 이제는 서서히 그 영향력을 잃으면서 올드미디어로 전락을 하고 있죠. 중요한 것은 뉴스라는 거는 이처럼 언제나 플랫폼을 중심으로 발전을 해왔던 겁니다. 뉴스는 TV뉴스가 굉장히 강력한 힘을 발휘해왔었는데 어느 순간 이 TV뉴스가 가진, 가지고 있던 힘이6 뉴미디어 즉 모바일이라든가 포털로 넘어가기 시작했다, 라는 거죠. 자 그럼 여러분 지금 이 순간에 가장 핫하고, 가장 강력한 매체는 무엇일까. 이것에 대한 답은 바로 누가 가장 그 빠른 소식을 전달하고 있느냐, 즉 어떤 매체가 속보 스트레이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느냐를 찾아보시면 됩니다.
자 지금은 뉴스 플랫폼의 거대한 전환기라고 할 수가 있잖아요. 라디오나 어떤 TV 인터넷 모바일 다 뒤섞여 있고요. 그다음에 뭐 유튜브라든가 페이스북 같은 SNS들까지 온갖 많은 소식들을 전달하기 위해서 서로 경쟁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 그렇다면 뉴스의 관점에서만 봤을 때 가장 강력한 플랫폼은 과연 무엇일까요?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속보, 즉 스트레이트를 사람들이 어디에서 접하게 되는지를 살펴보시면 됩니다. 자 여러분들 재해나 재난 같은 어떤 큰 사건이 터졌을 때 어디를 먼저 찾으시나요? 예전에는 무슨 일이 터졌다, 라고 하면 사람들이 라디오 또는 특히 TV를 켰습니다. 그래서 지금 내가 집에 없고 밖에 있기 때문에 TV를 켤 수가 없는 상황이다, 라고 하면 뭐 전파사라든가 이런 곳에 TV 화면이 있는 곳에 사람들이 모였었거든요. 근데 지금도 과연 그렇습니까?
자 삼사 년 전까지는 또 어떤 재해재난 상황에서 뭘 보십니까 라고 했을 때 아마 네이버 즉 포털에 접속한다고 했을 텐데 지금은 또 달라졌습니다. 아마 유튜브를 검색한다고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는데요. 실제로 2018년도에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를 보면 비상상황 시에 없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매체, 이게 TV가 불과 32.1%밖에 되지 않습니다. 1위는 스마트폰이었습니다. 64.6%가 스마트폰이 비상상황 시에 반드시 필요한 매체다, 라고 답을 한 겁니다. 즉 스마트폰과 TV의 역할과 영향력이 완전히 뒤바뀐 거죠. 최소한 우리나라 상황만 보자면 스트레이트 매체가 신문에서 TV뉴스 그 다음에 포털뉴스를 거쳐서 이제는 아예 모바일뉴스로 진화하고 있다, 라고 얘기를 할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자 요즘 대세라고 하는 유튜브가 단순히 그럼 속보매체에 그치고 있느냐, 그렇지 않습니다. 심지어 신뢰도까지 더 높아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러다보니까 기존의 어떤 TV뉴스라든가 포털뉴스의 자리까지 점차 잠식을 해가고 있는 겁니다. 즉 다시 말해서 이용량뿐만이 아니라 정말 믿을 수 있는 매체다, 라는 평가까지 받고 있는 겁니다. 실제로 언론매체의 신뢰도를 조사한 최근의 결과를 보면요. JTBC가 15.2%, 그리고 2위가 유튜브입니다. 유튜브가 12.4% 3위가 공영방송이라고 할 수 있는 KBS 뉴스 9.6% 그 다음이 또다시 네이버입니다, 7.8%. 즉 쟁쟁한 방송사들을 거의 대부분 제치고 유튜브와 네이버가 신뢰도 면에서도 굉장히 위쪽에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가 있는 겁니다.
그러다보니까 무슨 일이 벌어지냐면요. 어떤 국회라든가 어떤 정치적으로 굉장히 큰 사건이 있어서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다, 라고 할 때 과거에는 지상파 3사라든가 종편 같은 방송사들만 실시간 방송을 했었는데 지금은 완전히 상황이 바뀌었죠. 방송을 하지 않았던 중소 신문이라든가 인터넷 매체 그리고 더 나아가서 일반 개개인들까지 어떤 정치적인 이벤트를 유튜브로 실시간 스트리밍하면서 시청률 경쟁을 하는 모습을 볼 수가 있었습니다.
뭐 예컨대 최근에 굉장히 국회에서 큰 일이 있었는데 그때 뭐 JTBC, TBS YTN, SBS, KBS, 비디오머그, 채널A, TV조선, 연합TV, MBC, 뭐 MBN 이런, 이런 기존의 매체들뿐만이 아니라 신문사들이죠, 뭐. 한겨레, 노컷뉴스, 오마이뉴스, 서울신문, 한국일보, 연합뉴스 여기에 또 어떤 인터넷 통신매체 뭐 팩트TV, 신의한수, 펜앤드마이크, 가로세로연구소, 시사포커스, 뭐 김용민TV 이런 소규모 매체들뿐만이 아니라 개인 매체들까지 다 나서가지고 국회 청문회라든가 정치적 이벤트를 라이브 스트리밍 하는 광경을 보실 수가 있었을 겁니다.
기존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했던 TV와 라디오가 점차 그 힘을 잃어가고 있고, 그 사이를 이른바 뉴미디어 매체라고 하는 SNS와 유튜브가 빠르게 잠식해 들어오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들을 점차 더 가속화될 것이고요. 아마 우리가 익숙해왔던 어떤 언론 매체의 지형을 완전히 뒤바꿔놓을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내레이터 : 뉴스는 언제나 당대의 기술이 집약된 최신 정보 유통망, 즉 플랫폼을 중심으로 발전을 해왔습니다. 라디오와 TV가 등장하면서 본격적인 대중매체 시대가 열렸고, 최근에는 뉴미디어라는 새로운 기술이 등장했죠. 지금은 이러한 뉴스 플랫폼의 거대한 전환기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라디오나 TV, 인터넷, 모바일, 그리고 유튜브와 페이스북 같은 SNS들까지 온갖 많은 소식들을 전달하기 위해서 서로 경쟁을 하고 있죠. 기존에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했던 TV와 라디오는 점차 그 힘을 잃어가고 있고, 그 사이를 이른바 뉴미디어 매체라고 하는 SNS와 유튜브가 빠르게 잠식해 들어오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들은 점차 더 가속화될 것이며, 언론 매체의 지형을 완전히 뒤바꿔놓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터넷, 웹 3.0으로의 진화

1990년대 초, 월드 와이드 웹이 공개된 이후 인터넷은 빠른 속도로 진화하면서 전 세계를 연결하는 통신망이자 커뮤니케이션 매체로 자리매김 했습니다. 그동안 우리는 웹 1.0과 웹 2.0으로 일컬어지는 시기를 거쳐 이제 웹 3.0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대에 다가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웹 3.0의 개념과 실체에 대한 의견은 여전히 분분합니다. 테슬라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가 "웹 3.0은 실체가 없는 허상"이라는 날선 비판을 가했음에도 웹 3.0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나날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과연 웹 3.0이란 무엇이며 어떤 형태로 진화하고 있을까요?

웹 3.0의 등장 배경

오늘날과 같은 디지털 사회에서 데이터는 가장 가치 있는 자원이자 자산입니다. 하지만 개인은 데이터 제공자일 뿐, 일부 기업들만이 데이터를 독점하고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웹 생태계에서 소수의 기업이 데이터를 독점할 수 있게 된 원인과 함께 웹 3.0이라는 대안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웹의 발전 과정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1991년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인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가 월드 와이드 웹을 세상에 공개하면서 2004년까지 이어지는 웹 1.0 시대의 막이 열렸습니다. 웹 1.0은 오로지 ‘읽기’만 가능했고 클릭 외에는 어떠한 상호 작용도 없는 정적인 웹페이지였습니다. 즉 다수의 이용자는 소수가 제공하는 제한된 형태의 콘텐츠를 그저 읽을 수만 있었습니다.

  • producer -> web -> consumer
  • 다수의 prosumer -> web -> 다수의 prosumer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인터넷 보급 확산과 디바이스 다양화로 웹은 급속하게 발전했습니다. ‘읽기’만 가능했던 이용자들은 이제 직접 컨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습니다. 웹 1.0은 단순한 웹페이지들의 집합으로 단방향 커뮤니케이션만 가능했지만 웹이 플랫폼의 형태로 발전한 웹 2.0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졌습니다.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웹 2.0은 한 차례 더 진화합니다. 이용자들은 인터넷에 언제나 접속이 가능해졌고 기업이 제공하는 플랫폼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나 시스템간의 서비스를 마음대로 공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플랫폼의 역할이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소수의 사업자들이 웹 생태계를 주도하기에 이릅니다. 네이버∙구글∙페이스북 등의 플랫폼 사업자들은 간단한 회원 가입만으로 각종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였고 이용자들은 이러한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여 서로 소통하고 데이터를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웹 2.0에 대한 문제제기

웹 2.0 플랫폼 사업자들은 폭 넓고 질 좋은 웹 환경을 제공하는 대가로 이용자 데이터와 그 소유권을 가져 갔습니다. 일찍이 데이터의 가치를 알았던 기업들은 서비스 이용자의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그것을 활용해 창출하는 수익의 대부분을 독식하며 성장했습니다. 계속 쌓여가는 데이터는 기업의 거대 자산이 되었고 그 결과, 웹 2.0의 중앙집중화되고 폐쇄적인 플랫폼은 이용자를 쥐락펴락 할 수 있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갖게 됩니다. 그 와중에 페이스북의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건 등이 플랫폼의 진화과정 터지면서 소수의 플랫폼이 수집, 관리하는 개인 정보의 가치와 중요성, 보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강화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웹 3.0은 1998년 팀 버너스리가 제안한 개념인 ‘시맨틱 웹(Semantic Web)’이 그 시작입니다. 시맨틱 웹은 '의미론적인 웹’을 뜻하는데 기계가 인간들이 사용하는 자연어를 이해하고 상황과 맥락에 맞는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웹을 가리킵니다.

웹 2.0에 대한 문제 제기와 함께 떠오르기 시작한 웹 3.0은 ‘시맨틱 웹’과 ‘탈중앙화 된 웹’, 그리고 프로토콜 경제를 근간으로 하는 메타버스를 포함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금의 웹 3.0은 시맨틱 기술을 활용해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한 탈중앙화와 데이터 암호화에 기반한 ‘개인의 데이터 소유’가 가능해진 새로운 형태의 웹 생태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시맨틱 웹

웹 2.0의 키워드 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많게는 수십 페이지까지 넘겨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었지만 웹 3.0의 시맨틱 웹은 필요 없는 정보를 제거하고 사용자의 성향과 검색 목적에 따른 개인 맞춤형 정보를 신속하게 도출할 수 있습니다.

  • ontology class: 키워드(schem:keywords), 카테고리(mofadocu:category), 외교문서(bibo:document)/발간자료(mofapub:publication)
  • core ontology class:연도(time:year), 사건(schema:event), 기관(foaf:organization), 인물(foaf:person), foaf:agent, 직책(mofa:position), 부서(mofa:division), 국가(schema:country),도시(schema:city), 지역(mafa:area), geo:spatialthing
  • subclassof:foaf:agent
  • object property: 키워드(schem:keywords), 카테고리(mofadocu:category), 연도(time:year), 사건(schema:event), 기관(foaf:organization), 인물(foaf:person), 부서(mofa:division), 국가(schema:country),도시(schema:city), 지역(mafa:area) -> 외교문서(bibo:document)/발간자료(mofapub:publication)

어떻게 개인 맞춤형 정보 제공이 가능할까요? 우리가 사과를 떠올리면 사과의 색상, 종류 등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가 함께 떠오릅니다. 이와 같이 사과에 대한 부수적인 정보를 메타데이터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 메타데이터들의 집합이 바로 온톨로지(Ontology)입니다. 컴퓨터는 온톨로지를 활용해 데이터를 개념적으로 연결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인간과 같은 지능적 사고를 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서는 사용자의 검색 패턴을 분석하고 학습하여 개인 맞춤형 정보 제공이 가능해집니다.

웹 2.0에서 사용자 간 연결은 중개자 역할을 하는 플랫폼을 통해서만 가능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플랫폼의 권력이 막강해졌습니다. 이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개념이 바로 “탈중앙화 된 웹”입니다. 웹 3.0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인 “탈중앙화”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실현이 가능합니다.

  • 다수의 prosumer(data(block)) -> decentrlized -> 다수의 prosumer(data(block))
  • 다수의 prosumer(data(block)) -> 다수의 prosumer(data(block))
  • prosumer(data(block)) -> prosumer(data(block))

블록체인은 중앙 서버없이 노드(Node)들이 자율적으로 연결되는 P2P(Peer-to-Peer) 방식을 기반으로 각 노드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데이터 분산처리 기술입니다. 블록체인에서의 데이터는 불특정 다수의 노드에 의해 관리되기 때문에 중앙관리자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웹 3.0은 개방적이고 분산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개인이 데이터를 소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중앙의 통제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지금 현재에도 DApp(탈중앙 어플리케이션), Defi(탈중앙 금융), DID(탈중앙 신원증명)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탈중앙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과거의 메타버스는 단순히 3차원으로 구현된 가상 공간이었지만 ICT(정보통신기술) 혁신이 더해지면서 웹 3.0에서는 가상과 현실이 융합된 디지털 세계로 진화했습니다. VR∙AR∙MR 기술의 발전은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NFT를 통해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 증명이 가능해지는 등 새로운 디지털 경제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는 경제, 사회 활동이 가능한 공간이자 웹 3.0이 제시하는 새로운 삶의 패러다임이며 많은 분야에서 사업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업종을 필두로 공공, 교육 등 거의 모든 분야에 메타버스 광풍이 불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웹 3.0, 완벽한 미래인가?

웹 3.0은 이상적인 유토피아 비전을 제시하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합니다. 과연 완벽한 탈중앙화가 가능할까요? 페이스북이 사명을 “메타(Meta)”로 바꾸고 메타버스 사업에 뛰어든 것처럼 웹 2.0을 주도하던 거대 기업들이 이제는 웹 3.0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탈중앙화가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 개발도 거대 기업들의 주도로 이루어지는 실정입니다. 이 때문에 웹 3.0은 탈중앙화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중앙화가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존재합니다. 뿐만 아니라 방대한 양의 데이터 처리 기술과 디바이스의 발전∙보급, 개인 정보 또는 데이터의 관리∙활용 방안, 관련 지식이 없는 일반인의 높은 진입 장벽 등 고려해야 할 사안들이 부지기수입니다. 데이터 주권을 회복하고 이용자들에게 수익을 돌려준다는 웹 3.0의 솔깃한 제안을 현실화한 블록체인 기반 SNS인 스팀잇(Steemit)은 오로지 수익만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으로 전락했고 실패했습니다. 메타버스와 P2E(Play to Earn) 광풍이 불고 있지만 이 또한 중앙집중화된 웹 2.0의 서비스와 크게 다르지 않을 지도 모릅니다. 아직은 웹 3.0의 비전을 현실화하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함은 물론 더 깊이 있는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웹 3.0, 진입장벽을 낮춰라

웹 3.0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인공지능, AR∙VR, 분산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기반 기술이 필요하지만 그것을 성공적으로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사용성이 중요합니다. 웹 3.0 인프라 소프트웨어 개발사 플랫폼의 진화과정 램퍼(Ramper)의 공동 창업자인 시선 리(Sisun Lee)는 “블록체인을 처음 접한 사람들이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처음 해야하는 것이 ‘지갑 연결(Connect Wallet)’이라면 사용자 유입은 힘들 것이며 지금과 같은 사용자 경험으로는 웹 3.0의 대중화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테라 네트워크의 생태계 개발을 담당하는 나탈리 루(Natalie Luu)는 “차세대 웹 3.0 서비스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마찰 없는 사용자 경험이 필수다.”라고 했습니다. 아무리 좋은 목적과 의도를 가진 서비스라 할 지라도 지나치게 사용자 주도적이거나 복잡하다면 시장에서 외면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코인 지갑과 NFT 생성 및 거래, 메타버스 등 웹 3.0의 개념들은 이용자들에게 일정 수준의 학습을 요구하는 높은 진입 장벽을 쌓고 있습니다. 웹 3.0으로의 완전한 전환을 위해서는 웹 2.0에 익숙해진 이용자들이 쉽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와 트위터의 잭 도시의 말대로 웹 3.0은 단순히 마케팅 용어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웹 3.0이 중앙집중적이고 독점적인 웹 2.0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합리적 대안인 것은 분명합니다. 여러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이 잇따르면서 웹 3.0으로의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변화와 발전은 한 순간에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웹 1.0과 2.0이 그랬던 것처럼 거듭되는 실패와 성공을 통해 웹 3.0도 어느 순간 우리 삶의 일부가 되어 있을지 모릅니다.

웹 3.0은 우리 삶 전반에 변화를 가져다 줄 새로운 패러다임이며 반드시 다가올 미래입니다.

▶ 해당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로 기고자에게 저작권이 있습니다.
▶ 해당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2차 가공 및 영리적인 이용을 금하고 있습니다.

한빛출판네트워크

미디어 2.0 : 미디어 플랫폼의 진화

기성 미디어들이 기존의 관습에 얽매여 있는 동안 이미 새로운 유통과 소비방식이 미디어 업계 전반에 스며들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책은 1인 미디어의 역할이 빠르고 개방적인 웹을 만나 급속하게 확대됨으로써 진화하는 미디어 전반에 대해서 다룬다.

과연 변화가 새로운 것인지, 기존 미디어와는 어떠한 관계를 설정해야 하는지를 실험적인 블로그와 기업의 사례를 통해서 탐구하고, 향후 바뀌게 될 미래에 대한 전망과 그에 대한 대응 전략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어떤 독자를 위한 책인가?

  • 포털의 미디어 담당자
  • 다양한 미디어 사이트 종사자
  • 인터넷 신문 종사자
  • 오프라인 미디어 종사자

"미디어 2.0"이란 말 속에는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새로운 미디어란 의미가 담겨 있다. 물론 그 밑바탕에 깔린 가치는 참여와 개방이다. 그 동안 수동적인 위치에 머물렀던 수용자들이 뉴스 생산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게 된 것도 이런 흐름의 일환이다. 명승은의 "미디어 2.0"은 이런 새로운 흐름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특히 공허한 이론적 접근에 머물지 않고 저자 자신의 실제 경험으로 녹여낸 점은 이 책의 중요한 미덕이다. 최근의 흐름에 대해 무분별한 찬사 대신 비판적 지지를 보내고 있는 점도 인상적이다. 파워블로거인 저자의 배경이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 같다.
_ 아이뉴스24 김익현 기자

10년 전만 해도 종이신문보다 인터넷으로 뉴스를 접하는 사람이 더 많아질 것을 예측한 사람은 별로 없었다. 10년 전만 해도 1인 미디어들이 저널리즘의 일익을 담당하게 되리라 예측한 사람은 별로 없었다. 10년 전만 해도 개인이 손쉽게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온라인 방송국까지 운영하는 상황을 예측한 사람은 별로 없었다. 앞으로 10년 후의 미디어 환경 역시 지금 섣불리 예측하기 힘들 정도로 크게 달라질 것이다. 하지만 새로운 변화의 물결은 이미 진행 중이다. 바로 미디어 2.0이다. 이 책은 지금 막 펼쳐지고 있는 미디어 2.0 시대를 향한 여정에 함께 할 알찬 안내서이다.
_ 경희사이버대학교 NGO학과 민경배 교수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세상을 쉽게 알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빠르게 답변이 올라온다는 포털 게시판을 두드려야 할까요?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입니다. 21세기를 상징하는 인터넷과 그 문화는 알게 모르게 우리의 삶 깊이 들어와 있습니다. 없어서는 안되는 모바일에서 백여 개의 채널이 들어 있는 영리한 TV까지 인터넷은 똬리를 틀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친구, 인터넷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되고 있는지 설명해주는 사람이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할 때가 많습니다. 물론 많은 책들이 곁에 있습니다. 똑똑한 지식인들의 강연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친절하고 쉽게 전달해주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새로운 변화는 복잡하고 아주 빠르기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더구나 미디어의 소용돌이는 위력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가 지금 만나는 이 책은 변화무쌍한 미디어 세계의 심장부에서 우리와 같은 블로거가 전하는 간명하고 순정한 안내서입니다. UCC, 포털사이트 등 이미 우리가 경험한 미디어들을 알알이 풀어내서 아주 시원하게 펼쳐 놓았습니다. 전통 매체와 포털의 관계로부터 저널리즘을 복원하는 주제까지 생생한 현장도 담았습니다. 특히 "나"와 미디어의 연결을 짚으면서 "나"의 존재감을 부상시킵니다. 미디어 세계에서 출발한 변화가 우리 모두를 감싸기까지 그 노고와 진통을 정면에서 차분히 짚었습니다. 전통 미디어인 신문과 새로운 미디어의 원천인 포털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아온 저자였기에 가능했습니다. 현자가 있었다면 이 책을 읽고 질문에 답했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_ 한국경제신문 최진순 기자(중앙대 신문방송학부 겸임교수)

본문 주요 내용 발췌

"미디어 2.0은 민주주의와 권력 분산이다" 나는 이 말을 지난 몇 년 동안 대중 앞에서 거리낌 없이 말해왔다. 그렇다고 미디어 1.0이 끝나는 것은 아니라는 설명과 함께. 하지만 초기에 미디어 2.0을 설명하려는 시도는 번번이 "현실론"에 막히기 일쑤였다. 나는 기업체 마케팅, 홍보 담당자를 비롯해 기자, 일반인을 대상으로 이러한 강연을 꾸준히 해왔으며 블로그를 통해 소개해왔다. 이를테면 이런 것이었다. "미디어 1.0의 시대는 정보 밀어내기(Push)였다면 미디어 2.0 시대는 정보로 끌어당기기(Pull)다. 기존에 갖고 있던 정보를 가급적 인터넷에 공개하고 정보끼리 서로 끌어당길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홍보기사를 올려놓는 데 그치고 있는 기업체 홈페이지를 무한한 정보창고로 만들어 누구나 원하는 정보를 찾아갈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온라인 프레스룸의 개념이다." 온라인 프레스룸의 예를 든 곳은 인텔이라는 다국적 반도체 회사의 홈페이지였다. 이 회사는 전세계에 지사를 두고 있어서 같은 회사지만 각 나라마다 홈페이지 운영 형태가 상이했다. 인텔의 본사 홈페이지와 인텔 코리아 홈페이지를 보면 똑같이 Press Room과 보도자료라는 메뉴가 있다. 한쪽에는 다양한 그림 정보와 동영상을 비롯해 각종 자료가 상세히 소개돼 있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RSS서비스를 구현해놓았다. 하지만 인텔 코리아 홈페이지는 일반 우리나라 기업체 홈페이지와 별반 다를 것 없이 기존 언론들에게 배포하려고 만들어놓은 보도자료를 단순히 올려놓은 것에 불과했다. 이 둘의 차이는 미디어 2.0 시대를 맞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이기도 했다. 기업체 담당자들은 "우리도 멋지게 꾸미고 싶지만 인력이나 비용을 감당하기 힘들다"라고 하소연했다. 그들의 현실론이었다. 어찌보면 이들이 생각하는 미디어 2.0은 미디어 1.0의 확장이라고 생각하는 데서 출발했기 때문에 당연한 하소연이었다. 그들에게 미디어 2.0 시대는 기존의 미디어 1.0의 세상과 다른 시각이 필요하다고 말해도 그들이 당장 체감하는 것은 미디어 1.0의 힘이었기 때문에 설득하는 것이 무리였다. 그러나 이들이 미디어 2.0의 힘을 체감하는 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미디어 2.0은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미디어 운영방식이기도 하며 이미 바뀌어버린 정보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을 미리 읽고 이에 대처할만한 통찰력을 기르기 위한 개념이다. 따라서 기존 미디어 1.0 시대의 현실적 한계를 고려하지 않고 새로운 것만을 강요하는 불편한 신개념이 아니다. 특별히 미디어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고민을 심각하게 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미디어 2.0은 작은 곳부터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주는 원동력으로 작동하고 있다.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 메시지를 일방적으로 수용하고 반응하는 것이 전부였던 시절에서 벗어나 미디어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메시지를 소비하고 심지어 개인이 만든 콘텐츠가 대중을 향해 언론사 같은 커뮤니케이션 기관을 거치지 않아도 유통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인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역사는 늘 이러한 변화를 준비해왔다. 나는 10여 년 동안 대중매체에서 기자로 글을 써오면서 무엇이 이러한 변화를 만들어왔으며 이 변화 속에 있는 다양한 사회적 함의는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가 미디어 2.0 시대를 맞을 때 알아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궁금했다. 이런 궁금증이 바로 이 책을 쓰기로 결심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 책 안에서 최근 몇 년 동안 인터넷 미디어가 확장되면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는 것부터 시작할 것이다. 그 속에서 개인과 기업, 그리고 정부 등 각 사회 주체가 미디어 1.0 시대에 느꼈던 수많은 좌절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미디어 1.0에서 미디어 2.0으로 변화해온 사회를 설명하기 위해 몇가지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제시한다. 이 이론들은 현실세계를 조망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_ 프롤로그 중에서

긴 터널을 지나온 것만 같다. 지금까지 살펴본 미디어 2.0 논의와 현상, 그리고 현재와 미래의 미디어 모습에서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그리고 그것이 나와 이 사회에 주는 의미는 무엇일까. 지금껏 살펴본 미디어 2.0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은 과연 나에게 무슨 의미가 있다는 것일까. 이 책이 기획되고 집필이 이뤄지는 동안에도 미디어 산업은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었고 그런 현상에서 새로운 의미를 뽑아내기 위해 노력했다. 2006년 2007년의 경우 웹 2.0의 도래와 함께 마이크로미디어, 개인 미디어에 대한 주목이 과다하게 몰리면서 오히려 집필에 방해가 되기도 했다. 그러한 탓에 나는 좀더 멀찍이 떨어져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려 애쓸 수밖에 없었다. 미디어 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것을 통해 개인들이 펼칠 수 있는 소통의 세상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어넣기 위한 노력이었다. 2008년 현재, 새로운 시민 사회의 출현과 새로운 권력도구로써의 인터넷과 뉴 미디어가 권력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 돼 있었다. 나는 기성 미디어와 새로운 마이크로미디어 사이에 투쟁이 일부 있겠지만 결국 보완재로서의 제역할을 찾아갈 것으로 보고 있다. 언론 권력들도 차츰 자신들의 권력을 나누어줄 준비를 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반대로 기성 언론들을 전복할 것처럼 거세진 마이크로미디어들의 공세 역시 또 다른 영역에 안착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한다.
_ 에필로그 중에서

나는 10여 년 전 신문의 독자 투고란에 글을 싣게 하려고 10여개 매체의 팩스 번호를 확보해 같은 메시지를 담은 편지를 보냈던 적이 있다. 애니메이션을 산업화하자는 것이 주요한 메시지였다. 이는 산업과 사회, 그리고 문화에 대한 짧은 소견이었다. 이 글은 이후 5개 이상의 신문에 그대로 실렸다. 저차원적인 미디어 신디케이션이었다. 그리고 그 후 10여 년이 지난 지금 블로그에서 한 콘텐츠로 수십만 명이 보는 메시지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됐다. 사람들은 달려들어 그 글을 쓴 내게 댓글을 달며 자신의 의견을 말해왔다. 2007년 11월 올렸던 그만(나의 블로그 필명이다)은 IMF 수혜자? 피해자?란 글은 지금까지 수만 명이 읽고 있는 글이며 트랙백이 17개, 댓글이 100여 개가 달렸다. 글 하나가 콘텐츠로서 전송되었을 뿐인데 트랙백과 댓글이 전체 콘텐츠를 구성해 더 큰 의미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미디어 1.0의 세력이 더 공고화되고 있지만 미디어 1.0 세력 안에서도 다양한 혁신 세력은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은 미디어 2.0의 가치를 미디어 1.0 세력을 변화시키는 기제로 사용하고 있다. 미디어 2.0의 세력들은 미디어 1.0의 대체재로 충분할 것이라 예상했지만 결과적으로 미디어 2.0의 세력은 미디어 1.0 세력의 보완재로 더 큰 의미를 가질 것이다. 미디어 1.0 세력의 전면적인 몰락은 상상 속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왜 미디어 1.0의 역할을 축소시키고 이들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득력도 부족하다. 미디어 2.0 세력은 미디어 1.0이 주지 못한 가치를 주고 있지만 그 가치가 미디어 1.0이 주고 있는 가치보다 더 크다고 착각해서도 안 된다. 미디어 1.0 세력이 갖지 못한 미디어 2.0 세력의 순수한 가치는 오히려 매력적이지만 폭발적이지 않다. 반대로 미디어 2.0 세력이 갖지 못한 미디어 1.0의 영향력은 거부감이 들지만 사회 변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내가 묻고 싶은 것은 당신은 미디어 2.0 세력의 일원으로 기능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가다. 특별한 준비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미디어 1.0이 갖지 못한 통 큰 가치를 실현하는 것부터가 미디어 2.0의 출발이다.
_ 에필로그 중에서

링블로그-그만의 아이디어(www.ringblog.net) 운영
기자 생활 10년 동안 알린 이름보다 지난 2년 동안 블로깅으로 더 많이 알려진 자칭 재야 IT 저널리스트.
무명 잡지 기자부터 시작해 매경인터넷 디지털미디어 기자까지 쉼 없이 인터넷과 기술 문화에 대한 열정을 키워오다 "블로그"라는 1인 미디어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아무도 모르는 익명의 설치형 블로그를 시작해 지난 2년 동안 자신을 대상으로 블로그의 미디어화에 대한 실험을 지속해왔다. 비용 한푼 들이지 않고도 하루에 6,000명 이상의 독자들에게 자신의 글이 배달되는 세상을 만끽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EBS 정보 관련 프로그램의 고정 출연자, KBS 1라디오 고정 패널을 비롯해 SBS TV, CBS, MBC 라디오 등에 출연했으며 「주간동아」, 「월간 신동아」, 「이코노미21」, 「신문과 방송」, 「전자신문인터넷」 등에 각종 정보통신 관련 전문 기고를 해왔다.
최근에는 블로거로서 온오프라인 활동을 통해 "블로그 전도사" 역할을 자임하고 있다.

CNET 코리아 ZDNet Korea 편집장 역임
한국 IDG 미디어 기획 담당 팀장
매경인터넷 스팟뉴스팀 IT 전문 기자
PR 전문가협회 온라인 PR 담당 강사
초대 한국온라인기자협회 사무국장 역임
현 야후!코리아 대외협력 및 탑블로그 전략팀 차장
현 전자신문인터넷 이버즈 IT 칼럼니스트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