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Short)피봇과 캔들패턴 활용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24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공정거래위원회(2-1동)

국립세종도서관 메인화면

Chapter 2. 우량주 수급평단 매매법의 디테일
1. 추세와 주가-101
실전 차트 사례 - 한진 / ocl / 카카오 / 롯데케미컬 / LG이노텍 / 현대미포조선
2. 횡보구간의 박스권 패턴-109
실전 차트 사례 - 우리산업 / 후성 / 상상인 / 비에이치
3. 캔들패턴 시나리오-140
1)하락형 핸들패션 시나리오-140
예시 차트 사례 - 제노레이 / 지스마트글로벌 / 메디포스트 / 코스온 / 태광 / 유진기업
2)상승형 캔들패션 시나리오-148
예시 차트 사례 - 애경산업 / 두산인프라코어 / 한진 / 유진기업 / 다나와
4. 박스권 대응방법-156
1)박스권 대응방법1-156
예시차트 사례 - OCL / 네오위즈 / 지어소프트
2)박스권 대응방법2-166
예시차트 사례 - 우리산업 / 두산인프라코어 / 와이엠씨 / 대우조선해양 / 크리스탈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박스권 응용패턴-180
예시차트 사례 - 와이솔 / 후성
5. 정리 -구간별 패턴과 대응-190

Chapter 3. 비중 관리
1. 비중 관리-197
1)총 자본의 3%-197
2)종목 투자금액-198
3)매수하는 방법-199
2. 종목 대응법-204
예시 차트 사례 - 이수페타시스 / 금호석유 / 노루페인트 / 파트론
3. 정리 - 3%룰, 비중관리 매커니즘-218

Chapter 4. 우량주 스윙/중기 매매법
1. 어닝 서프라이즈 패턴-221
예시 차트 사례 - 신세계인터내셔날 / 티에스이 / 위닉스 / 웅진 / 이지웰페어 / 씨티씨바이오
2. 매물영역과 매물저항-283
예시 차트 사례 - 서울옥션 / 루트로닉 / 호텔신라 / 케이엠더블유 / KG케미칼 / 에이씨티 / 화이브라더스코리아 /CJ프리시웨이 / KCC / 갑을메탈 / 코리아나 / 위닉스 / 청담러닝

청사대출서비스는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 내 비치된 무인 예약도서대출반납기를 통한 서비스로 정부세종청사 내 기기를 통해서만 도서수령이 가능 합니다. 신청하시겠습니까? 10월 26일 이후 막기-start ■ 알 림
기기 부품 교체 작업으로 공정거래위원회(2-1동) 청사대출신청이 일시 중단됨을 알려드립니다.
대출신청중지기간: 10월 21일(수) ~ 10월 26일(월)
※ 10월 26일(월)은 대출신청·반납 모두 이용불가 10월 26일 이후 막기-end

무인예약 도서대출 서비스는 도서관 1문(정문) 로비에 비치된 무인예약도서대출기를 통한 서비스로, 해당 기기를 통해서만 도서 수령이 가능 합니다.
※ 휴대전화로 진행상황을 알려 드리니, 휴대전화번호 변경 시 통합회원 정보의 전화번호를 변경한 뒤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신청도서의 무게 또는 크기 등의 사유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 비치될 수 없는 경우, 무인예약대출신청이 취소됩니다. 신청하시겠습니까?

  • 정부세종청사 종합매장(6-3동)

정부세종청사 종합매장(6-3동) 약도

공정거래위원회(2-1동) 약도

정부세종청사 종합매장(6-3동) 약도

공정거래위원회(2-1동) 약도

정부세종청사 종합매장(6-3동) 약도

공정거래위원회(2-1동) 약도

공정거래위원회(2-1동)

※ 휴대폰번호로 진행상황을 알려 드리오니 휴대폰번호 변경시 통합회원정보의 전화번호를 변경한 뒤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청사 출입은 정부청사관리소 정책에 따라 제한될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6-3 정부세종청사 종합매장은 주말 이용불가)

※ 도서관 방문자가 신청도서를 요청하거나 신청도서의 무게, 크기 등의 사유로 비치될 수 없는 경우 청사대출신청이 취소됩니다.

위로가기

관련 사이트

세종도서관 포스트 아이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웹와치(WebWatch) 2022.7.4~2023.7.3 공공누리마크

세종도서관 포스트 아이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웹와치(WebWatch) 2022.7.4~2023.7.3 공공누리마크

국립세종도서관 (3012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3로 48 (어진동 637)
문의전화 044-900-9114 | 팩스 044-900-9055
COPYRIGHT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ALL RIGHTS RESERVED.

EDAILY

[edaily] 선물옵션 투자자들은 기술적분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단기적인 저항선과 지지선을 설정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분석이 피봇분석과 디마크의 목표가격 설정법이다. 이중에서 피봇분석은 자주 활용되고 그 신뢰도 또한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피봇을 계산하는 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주로 아래와 같은 공식이 많이 사용된다. 피봇분석에는 이 공식 이외에도 다른 방법으로 지지와 저항수준을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차 저항수준은 피봇포인트 + (1/2*전일변동폭)으로 정의하고 1차 지지수준은 같은 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으나 아래의 공식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피봇분석은 당일의 가격변동폭이 클수폭 다음날 피봇의 지지와 저항수준이 넓혀지게 되고 당일 가겨변동폭이 작을수록 익일에 예상되는 지지선과 저항선의 폭이 좁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Pivot point 공식 피봇포인트(P) = (고가 + 저가 + 종가)/3 2차 저항 = P + 고가 - 저가 1차 저항 = (2 X P) - 저가 1차 지지 = (2 X P) - 고가 2차 지지 = P - 고가 + 저가 피봇으로 계산된 산출된 지수를 지지선과 저항선으로 설정한 단순한 매매전략보다는 추가적인 필터를 적용해보는 것은 매매의 성공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에 소개하는 투자의 아이디어는 피봇지표와 캔들차트의 패턴을 함께 고려하는 투자전략이다. 상승형 차트는 해머형, 상승장악형, 관통형, 상승잉태형, 샛별형 등이 있고, 하락형 차트는 교수형, 하락장악형, 먹구름형, 십자잉태형, 석별형 등이 있다. 패턴은 크게 두가지로 추세전환형 패턴과 추세추종형 패턴으로 나뉘고, 하나의 봉보다는 두개의 봉, 세개의 봉으로 구성된 패턴이 보다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전략은 피봇에서 나타난 중요한 지수대에서 나타나는 패턴을 매매신호로 적용하는 것이다. 캔들차트의 패턴: 추세전환형과 추세추종형 - 추세전환형 패턴 : 망치형, 십자형, 유성형, 장악형, 먹구름형, 관통형, 샛별형. 석별형 - 추세추종형 패턴 : 상승갭, 하락갭, 격리형, 삼단형, 상승나란히형, 하락나란히형 아래의 차트는 2003년 7월 29일 KOSPI200 주가지수 선물 지수의 흐름이다. 당일의 피봇포인트는 92.37p 였고, 저항선과 지지선은 각각 93.17p, 92.88p, 92.08p, 91.57p 였다. 당일 선물 9월물은 오전장 내내 Long&Short)피봇과 캔들패턴 활용 특별한 모멘텀을 찾지 못한 가운데 고가와 저가의 폭이 1p에도 미치지 못하는 약보합 장세를 연출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후장 들면서 피봇 1차 지지선(92.08p)이 머물고 있는 92p 초반대에서 저가(92.05p)를 기록한 후 해머형 패턴이 나타나면서 급반등에 성공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중 랠리도 피봇 2차 저항선(93.17p)에 부딪히면서 한계를 드러내면서 92.25p에서 고가를 기록하였다. KOSPI200 선물 9월물 5분차트(2003년 7월29일) 이번에는 피봇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한 경우인데, 아래의 차트는 2003년 8월 5일 선물 9월물의 장중 5분 차트이다. 당일의 피봇포인트는 92.88p 이고, 저항선과 지지선은 각각 93.73p, 93.22p, 92.37p, 92.03p 이다. 전일의 고가와 저가의 폭이 1p 정도에 머물자 피봇저항선과 지지선의 폭이 좁아진 모습이다. 이날도 마찬가지로 피봇 2차 저항선이 머물고 있는 93.73p 부근에서 장중 고가인 93.75p를 형성한후 2개의 봉으로 이루어진 변형된 하락장악형이 오전장중 발생되면서 매수위주의 시장흐름이 매도세가 장악하는 분위기로 반전되었다. KOSPI200 선물 9월물 5분차트(2003년 8월5일) 피봇포인트는 단순하게 일일기준으로도 산출할 수 있지만, 주간단위로도 계산하여 중기적인 시장 접근도 가능하다. 2003년 6월 23일부터 6월 27일까지의 주간 고가, 저가, 종가를 산출하여 주간단위의 피봇포인트와 지지선을 설정하면 2차, 1차 저항선은 각각 701.38p, 689.33p로 1차, 2차 지지선은 각각 662.50p, 647.72p로 계산된다. 데이트레이딩이 아닌 포지션 이월을 동반하는 매매패턴이라면 중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는데, 아래의 예를 이러한 경우는 보여주고 있다. 피봇 1차 지지선이 머물고 있는 662.50p에서 지지력을 확인한 다음, 피봇 2차 저항선까지 상승하고 있다. 이 부근에서 캔들차트 분석상 Dark-Cloud Cover형이 발생하면서 하락반전하고 있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주간단위의 피봇포인트 설정(60분 차트, 2003년) 피봇과 캔들차틀을 동시에 분석하는 기법은 KOSPI200 주가지수 선물뿐만 아니라 KTB 선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파생상품 시장중에서 주가지수 선물시장과 국채선물 시장은 유동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차트로 대응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접근하기 용이하다는 판단이다. 아래의 차트는 2003년 7월 21일 KTB 9월물 선물차트이다. 그날의 피봇 1차 지지선은 109.19p 였고, 피봇 2차 저항선은 109.59p 였다. 시가가 109.34p 기록된 후 오전장중 소폭 하락하는 패턴을 보이다가 11시경 피봇 1차 지지선이 머물고 있는 109.19p 부근에서 dragonfly doji형을 발생시킨후 피봇 2차 저항선이 있는 109p 후반대까지 상승하는 패턴을 발생시켰다. KTB309 선물 5분차트(2003년 7월21일)

상승형 캔들 패턴

세계 최고의 차티스트 토마스 불코우스키의 명저 개정판(리커버) 출간 차트 패턴은 똑똑한 돈의 발자국이다! 모든 것은 흔적을 남긴다. 주가를 기록한 차트도 마찬가지다. 세계 최고의 차티스트인 토마스 불코우스키는 차트 패턴을 ‘똑똑한 돈’의 발자국이라 표현한다. 그러나 대다수 일반투자자는 주가의 발자국을 분석할 때마다 자신의 주관적인 촉에 의존하곤 한다. 즉, 객관성이나 과학적인 확률을 고려하지 않고 오로지 감에 의지해 시장에 뛰어드는 경우가 잦다. 이러한 나쁜 습관으로 주식을 거래한다면 매번 시장에 너무 늦게 진입하거나, 너무 늦게 청산하는 실수를 반복하게 되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그러나 이제 『차트 패턴』을 만남으로써 모든 상황을 반전시킬 기회를 찾게 될 것이다. 차트 분석의 명인 토마스 불코우스키의 『차트 패턴』이 신장판(리커버)으로 돌아왔다. 그가 세계 최고라 Long&Short)피봇과 캔들패턴 활용 불리는 데는 이유가 있다. 일류라 자부하는 노련한 기술적 분석가들 스스로 블코우스키의 책을 읽고 거래 방법을 수정하거나 교정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25년 동안 주식을 매매하며 실제 자신이 분석한 차트 패턴으로 놀라운 수익을 거두었다. 게으른 사람은 흉내도 못 낼 성실함과 믿기지 않을 정도의 분석력으로 3만 8,500개 이상의 차트를 조사 및 연구했다. 『차트 패턴』에서 그 패턴을 시뮬레이션하여 엄밀한 과학적 수치로 결과를 제시한다. “100만 개의 차트 패턴을 봐야 세계 일류의 차티스트가 될 수 있다는 글을 어디선가 읽은 적이 있다. 거래일마다 250개의 차트 패턴을 분석한다면 100만 개를 보는 데 15년이 걸린다. 15년이라니! 우리에게는 그럴 만한 시간이 없다. 나는 독자에게 단 몇 시간만을 요구할 것이다.” 이 책으로 당신도 일류 차티스트가 될 수 있다.

성공적인 투자자로 25년 동안 주식을 거래해왔다. 차트에 관한 한 세계에서 불코우스키에 필적할 만한 사람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우리 시대 최고의 차티스트이다. 주요 저서로 『차트 패턴 백과사전』이 있고, 「적극적인 거래자」, 「주식, 선물, 옵션」, 「주식과 상품의 기술적 분석」의 기고가이기도 하다. 주식투자로 충분히 돈을 벌어 36세의 나이에 일상의 업무에서 ‘해방’되기 전까지는 레이시온 사의 하드웨어 디자인 엔지니어 그리고 탠디 사의 수석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했다.

연세대학교 지질학과를 졸업하고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현재 글쓰기와 번역 작업에 전념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차트로 주식투자하는 법』, 『캔들차트 투자기법』, 『차트 패턴』, 『윌리엄 오닐의 공매도 투자기법』, 『역발상의 기술』,『아우구스투스』, 『로마의 전설을 만든 카이사르 군단』,『잡식동물의 딜레마』, 『모던타임스』, 『피의 기록, 스탈린그라드 전투』,『우리를 위한 경제학은 없다』 등이 있다.

Chapter 1 똑똑한 돈, 스마트 머니의 발자국

Chapter 2 거래의 심리학
거래의 심리학
거래의 기본
부정적인 생각을 고치는 법
안심 영역
매도 신호
거래 계획을 짜고 계획대로 거래하라
무엇이 수익을 가로막는가

Chapter 3 추세선에 관한 진실
추세선의 역할에 관한 예
추세선: 외부 추세선, 내부 추세선, 추세 곡선
추세선의 접점 간격
추세선의 접점 수
추세선의 길이
추세선의 기울기
추세선과 이탈 거래량
추세선으로 가격 목표점을 계산하는 법
추세선 그리기
1-2-3 추세 변화 확인기법
추세선을 활용한 거래 사례
추가적으로 알아둬야 할 유용한 정보
추세선 종합 정리

Chapter 4 지지와 저항: 가장 중요한 차트 패턴
지지와 저항이란 Long&Short)피봇과 캔들패턴 활용 무엇인가?
차트 패턴으로서의 지지영역과 저항영역
피보나치 되돌림
천정과 바닥
수평 밀집 구간
지지·저항영역으로서의 어림수
추세선과 추세대
지지·저항영역으로서의 거래량
지지·저항영역을 이용하여 거래하는 법
지지와 저항 종합 정리

Chapter 5 대응이 필요한 특수 상황
강세장과 약세장
상승 함정과 하락 함정
플랫형 기반

낮아지는 고점과 높아지는 저점
부분 상승과 부분 하락
급등과 급락
꼬리
꼬리 추종
역지정가주문
상향 후퇴와 하향 후퇴

Chapter 6 성취율이 가장 높은 Long&Short)피봇과 캔들패턴 활용 10가지 바닥 패턴
1. 높고 조밀한 깃발형
2. 파이프 바닥형
3. 반전 상승 가리비형
4. 삼중 상승 바닥형
5. 둥근 바닥형
6. 하락 삼각형
7. 상승 확대 쐐기형
8. 이브이브 이중 바닥형
9. 삼중 바닥형
10. 역 머리어깨형

Chapter 7 널리 알려진 차트 패턴
확대 천정형과 확대 바닥형
하락 확대 쐐기형
상승 직각 확대형과 하락 직각 확대형
다이아몬드 천정형과 바닥형
이중 천정형
깃발형과 페넌트형
머리어깨형
조정 상승형과 조정 하락형, 단순 ABC 조정형
파이프 천정형
상승 삼각형과 대칭 삼각형
삼중 천정형

Chapter 8 주가 변동성 높은 이벤트 패턴
데드 캣 바운스
역 데드 캣 바운스
배드 어닝 서프라이즈
굿 어닝 서프라이즈
실적 깃발형
주식 등급 하향 조정
주식 등급 상향 조정

Chapter 9 큰 수익의 기회가 되는 예외형 패턴
예외형 확대 패턴
확대 천정형 / 상승 확대 쐐기형 / 상승 직각 확대형 / 확대 바닥형 / 하락 확대 쐐기형 / 하락 직각 확대형 /다이아몬드형, 이중형, 머리어깨형 다이아몬드 천정형
이중 천정형 / 머리어깨형 / 다이아몬드 바닥형 / 이중 바닥형 / 역 머리어깨형 / 그 외의 예외형 패턴
직사각형 / 상승 삼각형 / 하락 삼각형 / 대칭 삼각형 / 하락 쐐기형 / 상승 쐐기형

Chapter 10 그 외의 거래 사례(종합)
IMC 글로벌
자이언트 인더스트리
램 리서치
EMC
롬 앤드 하스
JLG 인더스트리
사우스웨스트 에어라인

Chapter 11 거래에 성공하기 위한 체크 리스트(종합)
매매 결정을 내리기 전에
어떻게 팔 것인가?
언제 팔 것인가?
놓쳐서는 안 되는 거래의 기본
패턴의 이탈 위치로 성취율을 예측하라
거래에 임하기 전 최종 심리 체크리스트

Chapter 12 패턴 성취율을 보여주는 통계수치(종합)
차트 패턴의 성취율과 순위
이벤트 패턴의 성취율과 순위
차트 패턴의 이탈 위치

속임수 거래량

고점에서 대량 거래 후 급상승, 바닥권에서 점진적 거래량 증가 후 급락, 이런 경우는 세력이 거래량을 역으로 이용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거래량 폭등 같은 경우는 해석이 다양하다. 이런 거래량 분석의 단점을 극복하려면 프로그램 수급의 지표를 이용하여 확률을 최대한 높여야 한다.

대량 거래를 동반하며 주가가 폭락하는 대표적 이유

작전 세력의 물량 털기 / 내부 악재 정보를 선취한 내부자의 매도 / 대여금에 대한 주식 담보를 확보하고 있던 금융권 매도 등이 이유다.

거래량 없는 상승의 의미

보통 개인 투자자의 투매 물량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장이 나쁘면 심리적으로 위축되기 때문에 일단 팔고보자는 심리가 커지게 되며 세력은 이 물량을 가만히 앉아서 받아먹고 다음날 상승시키는 것이다. 고가권 보다는 바닥권에서 일정한 상승을 한 경우라면 더욱 좋은 경우이다.

상승형 개량거래

자본력이 뛰어난 힘이 있는 세력주의 작품에서 종종 볼 수 있다. 주가 상승 중 대량 거래 음봉으로 추세 하락을 예고하는 듯하는 페인팅 모션을 취하면서 2차 매집에 들어가는 경우이다. 대형주에서는 대부분 추세 하락이지만 자본금이 적은 중소형주에는 세력의 단기 물량 매집 패턴용으로 캔들과 거래량을 모두 속이는 경우이다. 상승형 대량 거래 하락도 프로그램 지표의 수급으로 대형주나 중형주에서 세력의 의도를 대략 감지해낼 수 있다.

세력의 저가 매도, 저가 매수 전략

주가가 지지선을 붕괴하면서 갭하락 연이어 발생하는데 거래량은 서서히 증가하는 패턴이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V자로 추세 전환하면서 별다른 대량 거래를 수반하지 않고 급등하는 경우로 미처 일반 투자가들이 인식하여 붙지 못하는 경우이다. 흔히 개인들은 저가매수, 고가매도 전략을 취한다. 하지만 세력은 역으로 고가매수, 저가매도 전략을 취하기도 하며 한편으로는 세력의 매집 전략으로 흔히 사용되는 전략이 저가매도 저가매수이다. 해당 기업에 특별한 악재가 없는데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연속 주가가 하락한다. 다음날 시초가부터 던지고 밑에서 또 받고, 반등을 시도하려면 위에서 또 던지고 하는 패턴을 반복시켜 단기 심리적 악재를 최대한 이용한 세력의 단기 물량 매집법이다.

거래량 매수 급소

거래량은 매수세를 의미한다. 거래량의 매수 급소는 Long&Short)피봇과 캔들패턴 활용 과연 어떤 떄를 말하는 것인가? 바로 거래량 바닥 시점이 곧 매수 급소가 탄생하는 시점이다. 장기 하락의 대바닥점이 곧 거래량 바닥이 형성되며, 이 거래량 바닥 시점이 이제 매수할 준비를 하는 시점이다. 단, 장기 하락 추세 중인 종목이라면 하락 추세를 마무리하는 모습이 나타나야 한다. 거래량 바닥의 전저점을 지지하는 모습도 물론 나타나야 한다. (거래량 바닥으로 매수 시점을 잡는 것은 ㅏㄴ기 투자자에게는 매우 유리한 매매 방법이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