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 프로젝트 가속화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1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규제의 방식으로 제기되는 것은 DeFi를 대상으로 새로운 규제를 도입하는 방식과 기존 규제체계를 적용하는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해당 국가의 금융시장 현황 및 구조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우선은 기존의 규제체계를 적용하자는 입장이 보다 우세한 것으로 보인다. DeFi는 그 기반이 되는 기술의 속성이 다를 뿐, 자산을 이용한 수익의 추구라는 금융의 본질적인 성격은 동일하며, 새로운 규제 마련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인바, 규제정책의 적시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 보안 솔루션

허가된 블록체인 내에서 트랜잭션은 원장에서 이미 인식되어 있는 참가자에 의해 검증되고 처리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뢰와 관련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와 문제가 있습니다. 사이버 공격의 실질적인 영향을 피하기 위해 블록체인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답은 강력한 인증 및 암호화 키 보관을 통해 처음부터 블록체인 기술에 보안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탈레스의 HSM(하드웨어 보안 모듈) 및 인증 서비스는 다음 세 가지 영역에서 블록체인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블록체인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얻는 데 강력한 ID 및 인증을 제공하고,
  • 핵심 블록체인 기술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 블록체인 네트워크 전반에 걸친 커뮤니케이션을 안전하게 보호합니다.

탈레스 블록체인 솔루션

블록체인은 정교한 수학을 기반으로 하고 분산된 접근 방식을 통해 기본적으로 안전하지만, 이득을 얻기 위해 블록체인을 속일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처음부터 솔루션에 보안을 구축하고 항상 하드웨어 기반 솔루션에 키를 저장하여 이러한 함정을 피하고 보호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Luna Network HSM은 트랜잭션 전체에 블록체인 구성원이 서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인 키를 FIPS 140-2 레벨 3 DeFi 프로젝트 가속화 전용 암호화 프로세서에 저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키는 수명 주기 동안 저장되며, 승인되지 않은 장치나 사람이 암호키에 액세스, 수정 또는 사용할 수 없도록 합니다. 소프트웨어에 보관된 암호키는 도난 위험이 있어 전체 블록체인 원장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tectServer HSM은 Luna Network HSM처럼, 암호화, 서명 및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손상으로부터 암호키를 보호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Luna 및 Protect Server HSM은 모두 펌웨어의 일부로서 FIPS 140-2 레벨 3로 검증된 탈레스 HSM의 보안 범위 내에서 사용자 지정 코드의 개발 및 배포를 가능하게 하여 기본 HSM 기능을 확장합니다. Functionality Modules(FM)을 사용하면 Quantum 알고리즘 구현을 포함하여 조직의 요구 사항에 맞게 탈레스 HSM의 기능을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Luna Cloud HSM 서비스. 탈레스는 온프레미스 HSM 솔루션 외에도 DPoD(주문형 데이터 보호)를 통해 Luna Cloud HSM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DPoD는 배포 및 유지 관리할 하드웨어가 없는 서비스형 청구 모델을 제공합니다.

SafeNet Authentication Service(SAS)는 유연한 토큰 옵션이 포함된 완전 자동화된 고도로 안전한 서비스로서의 인증을 통해 총 운영 비용을 크게 줄이고 고유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인증을 조정합니다.

블록체인 소개

  • 블록체인은 모든 유형의 트랜잭션을 작성, 기록 및 확인할 수 있는 안전하면서도 투명한 방법을 제공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입니다.
  • 거래가 재정적일 필요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제3자가 각 당사자를 인증하고 교환을 중개해야 DeFi 프로젝트 가속화 하는 두 당사자 간의 모든 유형의 전송입니다.
  • 블록체인은 중앙 집중식 제어의 필요성을 제거합니다. 대신 모든 트랜잭션이 분산되고, 분산 원장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자체에 의해 검증됩니다.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사용 사례와 달리 블록체인 기술은 금융 거래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모든 종류의 디지털 자산과 코드 또는 스마트 계약을 추적하고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이점

  • 중앙 집중식 제어의 필요성과 추가 비용 제거
  • 블록체인 구성원 간에 신뢰가 분배됨
  • 거래는 자산 소유자 공개/개인 키 쌍을 사용하여 디지털 서명됨
  • 한 번 기록된 블록의 데이터는 소급하여 변경할 수 없음
  • 개방형 분산 원장은 두 당사자 간의 거래를 검증 가능하고 영구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기록
  • 트랜잭션은 데이터일 필요는 없으며, 코드 또는 스마트 계약일 수도 있음

인기 있는 블록체인 사용 사례 3가지

#1 암호화폐

위험: 암호화된 디지털 통화는 통화 자체를 식별하지만 소유자를 식별하지 않습니다. 코인의 암호키를 보유한 사람이 화폐를 소유합니다. 즉, 코인을 도난당하면 그 코인은 사라지고 다시 찾을 수 없습니다.
솔루션: FIPS 검증된 RoT에 암호키를 저장하는 것은 키와 궁극적으로는 암호화폐를 소유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2 스마트 계약

위험: 스마트 계약은 계약 조건을 자체적으로 실행하고 집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계약을 설명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입니다. 블록체인이 침해되면 스마트 계약이 변경되어 블록체인의 신뢰가 깨지고 중개인 없이 두 당사자가 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제거될 수 있습니다.
솔루션: 강력한 인증을 통해 익명 당사자와의 계약 조건을 안전하게 자체 실행하고 암호키를 하드웨어 RoT에 저장하여 당사자를 적절하게 식별하고 누구도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없도록 합니다.

#3 사물 인터넷(IoT)

위험: 전통적인 중앙 기관 신뢰 모델에 의해 부과된 제한은 IoT를 취약하게 만드는 데 일조했습니다. 가장 유명한 예로, 해커가 수천 대의 IoT 장치를 쉽게 탈취할 수 있게 해주는 미라이 스타일의 봇넷이 있습니다. 기본 암호로만 IoT 장치를 보호하는 경우, 해커는 DDoS(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솔루션: 블록체인은 분산 신뢰 모델을 제공하여 IoT 보안을 돕습니다. 블록체인은 단일 장애 지점을 제거하여 장치 네트워크가 다른 방식으로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네트워크 내의 노드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하는 모든 노드를 격리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탈레스 블록체인 파트너

탈레스는 업계 최고의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파트너와 협력하여 거래 보안을 위한 엔터프라이즈급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탈레스는 IBM, R3, Ethereum, Hyperledger, Ledger, BitGo, Symbiont, ConsenSys Quorum과 같은 파트너와 함께 업계 운영 방식을 보호하고 효율을 높이며 신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탈레스는 또한 Bitcoin, Hyperledger, Ethereum, Altcoins, Monero 등을 포함한 여러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합니다.

symbiont

blockchain

저희가 도와드리겠습니다

블록체인에 대한 모든 불확실성, 수많은 표준 및 프로토콜, 중앙 집중식 플랫폼에서 분산형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상황에서, 블록체인을 시작하는 것은 아무래도 어렵고 두려운 일입니다. 블록체인 기술 구현에 실패한 수많은 블록체인 조직들처럼 되지 마십시오. 탈레스에 문의하여 블록체인의 이점을 확인하고 탈레스의 HSM 및 SAS 솔루션으로 거래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방법을 알아보십시오.

당사 웨비나 "결제용 블록체인: 현장 경험"은 블록체인 결제 분야의 선두 주자들과의 토론을 통해 그들의 현재까지의 경험과 블록체인 결제의 미래에 대한 의견을 자세히 알아봅니다.

암호화화폐

문스테이크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스테이킹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2020년에 스테이킹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2000개 이상의 암호 화폐를 지원하는 가장 사용자 친화적인 웹 지갑과 모바일 지갑 (iOS / Android)을 개발했습니다. 2020년 8월에 본격적인 운영이 시작된 후 문스테이크의 총 스테이킹 자산은 빠르게 DeFi 프로젝트 가속화 성장하여 10억 달러에 도달하여 문스테이크는 전 세계 10대 스테이킹 제공 업체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현재 문스테이크는 Cosmos, IRIS, Ontology, Harmony, Tezos, Cardano, Qtum, Polkadot, Quras, Centrality, Orbs, IOST 등 수요가 많은 12개의 스테이킹 코인을 지원합니다.

한편 DeFi.org는 새로운 프로젝트와 DeFi 프로토콜을 부트 스트랩하고 차세대 혁신을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가속기입니다. Orbs와 업계 리더 Binance의 합작 투자입니다. 액셀러레이터는 연구,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및 커뮤니티 참여를 지원하고 공정한 배포, 커뮤니티 소유권, 혁신, 위험에 대한 책임있는 접근 방식, 지속 가능한 경제 및 구성 가능성의 원칙에 기반한 유망한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데 전념합니다.

문스테이크의 CEO인 Lawrence Lin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10 대 글로벌 스테이킹 제공 업체인 문스테이크는 파트너 Orbs와 선도적인 글로벌 거래소 바이낸스가 설립한 액셀러레이터 인 DeFi.org와 협력하여 암호 화폐 및 DeFi 공간의 혁신적인 새 프로젝트가 시장에 출시되도록 지원하게되어 기쁩니다. 플랫폼에 1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이 스테이킹되고 강력한 스테이킹 코인 라인업이 지원되며 노련한 개발 팀이 있는 문스테이크는 DeFi.org 생태계의 포트폴리오 회사를 위한 귀중한 기술 컨설팅은 물론 훌륭한 유동성 주입 기회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

Orbs의 사장인 Daniel Peled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유동성 및 개발 노력은 항상 암호화 및 DeFi 분야에서 신생 기업의 가장 큰 관심사 중 일부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세계 최고의 스테이킹 플랫폼 문스테이크와 제휴한 이유입니다. 우리는 이 협력이 DeFi.org의 업계 전문가 팀에 큰 가치를 가져다 줄 것이며 개발 및 유동성 분야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가속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

문스테이크는 최근 지역 및 글로벌 블록 체인 시장의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스테이킹 풀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문스테이크는 스테이킹 풀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파트너와 회사를 통해 비즈니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문스테이크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스테이킹 풀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하며, 암호 화폐 보유자들을 위한 강력한 환경은 그 사명 중 하나입니다. 문스테이크와의 명확한 파트너십 로드맵을 수립하는 것은 급성장하는 아시아의 DLT (분산 원장 기술) 생태계에서 선도적인 플랫폼과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기위한 또 다른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일본 최대 블록 체인 허브 인 Binarystar, , 싱가포르 카탈리스트 상장 회사 인 OIO Holdings Limited (SGX : OIO)와 Emurgo, Ontology, 및 NEO와의 파트너십이 발표되었습니다. Lisk 및 RAMP DEFI의 Lawrence Lim과 같은 업계의 유명한 고문은 문스테이크의 혁신적인 여정을 지원합니다.

문스테이크는 2020년 8월의 본격적인 운영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총 스테이킹 자산은 1조원에 도달했습니다.
https://www.moonstake.io/ko/

DeFi.org Accelerator는 연구,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및 커뮤니티 참여를 지원하는 데 전념합니다. 액셀러레이터는 공정한 분배, 커뮤니티 소유권, 혁신, 위험에 대한 책임감 있는 접근 방식, 지속 가능한 경제성 및 광범위한 생태계와의 구성 가능성을 기반으로 구축된 프로젝트를 찾습니다. 참가자는 멘토링, 자금 조달 기회 및 시장 노출을 포함한 다양한 혜택을받습니다. 관심있는 팀은 https://DeFi.org/에서 참가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화제 Press release summary
출처: Moonstake

섹터 Crypto, Exchange
https://www.acnnewswire.com
From the Asia Corporate News Network

Copyright © 2022 ACN Newswire. All rights reserved. A division of Asia Corporate News Network.

암호화폐 첫걸음 5] 단계별로 알아보는 암호화폐 구입 방법

안녕하세요, 본 글은 6부작으로 연재되는 암호화폐 시리즈의 다섯번째 자료입니다. 본 시리즈는 디지털 자산의 장점부터 암호화폐를 사는 방법, 가격표를 보는 방법 등 모든 것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지난 글

들어가며

2009년 1월, 비트코인의 탄생 이후로 암호화폐는 정부가 발행한 전통적인 화폐의 실용적인 대안으로 점차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허지만, 디지털 화폐가 대중화는 느리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암호화폐들이 있지만, 대부분 가격 변동성(가격 급등락을 보유주는)을 보유한 투기적 자산입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암호화폐들은 너무 위험하며, 법정화폐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기에는 실용적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법정화폐에 혹은 다른 신뢰를 구축한 자산에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이 도입되면서, 한때 비실용적이라 인식되던 것이 합리적이고 유익해졌습니다. 그리하여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메이커다오의 다이와 같은 탈중앙화된 스테이블 코인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하고 있으며, 탈중앙 금융(DeFi; Decentralized Finance)의 세계와 디지털 화폐의 장점들을 경험하기 위해 첫걸음을 내딛고 있습니다.

다이와 같은 스테이블 코인을 사용하기 위해 암호화폐 구입하기

스테이블 코인들은 암호화폐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가격 변동성이라는 중대한 걱정을 덜어주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지불이나 송금, 저축 및 사용자간 거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르헨티나와 베네수엘라와 같은 남미의 지역처럼 경제적으로 문제가 있는 지역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를 접하기 시작할 때, 스테이블 코인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보통은 다른 암호화폐를 먼저 구매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기본 사항

암호화폐를 구매 및 판매하는 가장 단순하고 직접적이며 일반적인 방법은, 거래 수수료를 받는 중앙화된 거래소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그 예로,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유명 디지털 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가 있습니다. (만약 계시는 지역에서 DeFi 프로젝트 가속화 코인베이스가 사용 불가할 시, 링크를 통해 다이를 거래할 수 있는 다른 시장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코인베이스는 은행이나 송금 및 신용/체크 카드 결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법정화폐(USD, EUR, GBP 등)를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결제 방식은 여러분이 계시는 지역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가 전세계적으로 다르게 규제되기 때문에, 모든 지역에서 법정화폐로 암호화폐를 구매할 순 없습니다. 예를 들면, 꽤 많은 지역에서 USD로 다이를 바로 구매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더리움(ETH)이나 비트코인(BTC)를 먼저 구매하여 다이로 교환하고 있습니다.

신규 이용자 분들이 고려해야할 또 다른 중요한 것은 코인베이스가 화폐를 관리하는 주체이면서 중앙화된 플랫폼이라는 점입니다. 즉, 코인베이스는 이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앙 은행이나 다른 제 3자 주체들과 협업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만약 블록체인 기술 상에서 작동하는 다이(Dai)와 같은 탈중앙 애플리케이션(Dapp)을 이용하길 원하거나, 제 3자에 의존하고 싶지 않다면, 여러분은 암호화폐 지갑이 필요할 것입니다. 디앱(Dapp)을 지원하는 다양한 암호화폐 지갑들이 있으며, 그 중 하나로 코인베이스 지갑이 있습니다.

기본 사항을 숙지했고 원하는 지갑도 선택했다면, 이제 DeFi 프로젝트 가속화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법을 배우실 차례입니다.

암호화폐를 구매하기 위해 코인베이스 계정 만들기

코인베이스 계정을 만드는 것은 간단하며, 아래의 다섯 단계를 따르시면 됩니다.

    에 가서 회원가입을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여러분은 신원을 증명해야 하며, 이름, 주소 및 개인 정보를 제출해야 합니다.
  1.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Trade”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여러분은 체크 및 신용 카드와 같은 결제 정보 화면으로 이동하게 되며, 구매하길 원하는 암호화폐(아래 이미지 참조)를 선택하게 됩니다. 여러분께 보이는 선택지는 현재 계시는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선택을 하고나면, “Previous purchase” 버튼을 클릭하고 확정합니다.
  3. 이제부터 여러분의 계정 잔고를 확인할 수 있고, 원할 시, 암호화폐를 여러분의 지갑으로 송금할 수 있습니다.
  4. 로그아웃 하는 것을 잊지 마시고, 항상 로그인 정보와 계정 비밀번호를 안전하게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위치에 따라 상이: 코인베이스에서 이더리움으로 다이 교환

위에서 설명드린대로, 암호화폐를 구매할 때는 현재 위치 정보가 DeFi 프로젝트 가속화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암호화페는 전세계의 국가별로 다르게 규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만약 현재 살고 있는 지역에서 법정화폐로 직접 다이와 같은 탈중앙화된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우선 이더리움(ETH)을 구매하신 후 교환해야 합니다. 해당 절차는 몇 초 내로 가능하며,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와 같이 이더리움(ETH)을 다이(Dai)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1. 코인베이스 계정에 로그인합니다.
  2. “Trade” 버튼을 눌러 거래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합니다.
  3. 팝업 창 상단 부분의 ”Convert” 버튼을 누릅니다.
  4. “Convert Ethereum” 버튼을 누르고 교환 정보를 한번 더 확인합니다.
  5. “Convert now” 버튼을 누르고 체결된 거래 내역을 확인합니다.

다이를 보관하거나 사용하는 방법

이제 코인베이스 계정이 다이를 가지고 여러분의 지갑으로 송금할 수 있으며, 원할 시 WireX와 같은 체크 카드에 입금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뒤 일상 생활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구매 방법이 아닌 가치를 배우다

다이와 같이 탈중앙화된 암호화폐들은 중앙화된 주체나 금융 중개자들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균등한 금융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개인들이 독자적으로 거래(Peer-to-peer)할 수 있도록 합니다. 사용하기 쉬운 거래소 플랫폼들은 암호화폐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며, 유익한 디앱들은 전세계의 금융 시스템으로의 문을 열어줍니다.

다이가 주는 혜택에 대해 더 궁금하시다면, 블로그 자료 insights to Dai adoption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탈중앙 금융(DeFi)과 암호화폐의 바다로 더 깊이 들어가시려면 Oasis.app을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6부작 시리즈의 다음화는 “암호화폐 가격 차트의 중요성과 읽는 방법” 입니다.

DISCLAIMER

본 글은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법적, 사업적, 투자 혹은 세금 관련 조언으로 사용되어서는 안됩니다. 그런 문제들에 대해서는 본인의 조언자와 상담해야 합니다. 차트와 그래프 및 참고자료들은 정보 제공 및 설명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구매 결정에 사용되어서는 안됩니다. 글의 내용은 명시된 날짜를 기준으로 합니다.

KDI 경제정보센터

탈중앙화 금융(DeFi; Decentralized Finance)이란 분산원장(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을 사용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가상자산과 스마트 계약을 활용한 일체의 금융거래 행위를 지칭한다. 2008년 사카시 나카모토라는 필명의 프로그래머에 의해 개발된 가상자산 비트코인은, 당초 기존의 은행 중심 금융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복결제(double-spending)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을 뿐 이후 한동안 실물경제와 밀접한 관련성 없이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이후 다양한 종류의 암호화 화폐가 출시되고, 미 달러 등 법화(fiat money)를 기본자산으로 하는 테더(Tether)와 같은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 등장하면서 가상자산의 시장은 커지게 됐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가상자산으로 담보대출 등 금융활동이 가능한 이더리움(Ethereum) 플랫폼의 등장으로 가상자산은 급부상하기 시작했다.

기존 금융에 비해 신속하고 낮은 비용으로 거래 가능한 DeFi

2018년 미국 스타트업들을 중심으로 주식 대신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는 ICO(Initial Coin Offering) 붐이 일면서 DeFi시장은 크게 성장했다. 현재 90% 이상의 DeFi 활동이 이뤄지고 있는 대표적인 플랫폼인 이더리움에 존재하는 가상자산의 규모는 2020년 7월 19억 달러 수준이었으나, 2021년 11월에는 1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했다. 또한 다국적 컨설팅기업 PwC에 따르면 전 DeFi 프로젝트 가속화 세계 헤지펀드의 약 21%가 가상자산에 투자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총관리자산의 3%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DeFi 금융활동은 여러 종류가 있겠으나, 현재는 특정 가상자산을 담보로 다른 가상자산을 대출해 주고 가상자산으로 이자를 받는 대출행위인 일드 파밍(yield farming)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DeFi를 기존 전통적 금융체계와 구분 짓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 관리기관의 부재(non-custodial)다. DeFi의 모든 프로그램은 오픈소스고, 모든 거래 내역은 은행과 같은 중앙시스템이 아닌 참여자의 컴퓨터 또는 플랫폼상에만 기록된다.

둘째, 자율적인 공동체 기반(self-governed, community-driven)으로 운영된다는 점이다. 기존의 법화는 정부 또는 법이 그 교환가치를 보증해 주지만, DeFi 가상자산은 참여자들의 신뢰만 있을 뿐 그 어떠한 제3의 기관도 그 가치를 보장하지 않는다.

셋째, 무제한적 결합성(composability)이다. DeFi의 가상자산과 스마트 계약들은 무제한으로 쪼개지고 합쳐지면서 새로운 자산을 생성해 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에 DeFi시장의 양적 성장가능성은 무한대이며, 이에 상응해 위험도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다만 DeFi가 완전하게 비중앙적인 것은 아니다. 현재 대부분의 DeFi 거래가 이뤄지는 이더리움은, 은행과 같은 중개기관은 아니나 참여자들이 이더리움 서버에 접속해야 한다. 한편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 화폐 거래의 경우 중앙서버 없이 순수하게 P2P로 거래가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중앙화-비중앙화의 차이는 이분법적이기보다는 스펙트럼 같이 연속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DeFi 참여의 유인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기존 통화의 인플레이션 및 환율 변동에 따른 가치 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다만 개념적으로는 타당하나 현실적으로 가상자산의 가치 변동성이 매우 크다는 모순이 있다.

둘째, 거래의 신속성 및 낮은 거래 비용이다. 기존의 금융체계에서는 거래 후 최종 결제까지 통상 2일 이상이 소요되나, DeFi에서는 거래 즉시 결제가 완료된다. 또한 증권거래 및 은행계좌를 이용한 송금 등에는 상당한 거래 비용이 발생하는데(특히 SWIFT 국제송금 비용은 매우 높은 DeFi 프로젝트 가속화 수준) DeFi에서는 거래 비용이 미미한 수준이다.

셋째, 금융의 포용성을 높일 수 있다. DeFi는 인터넷이 연결된 디지털 기기만 있으면 활용이 가능해 은행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이들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 실제로 은행서비스 포용성이 낮은 저개발국가에서 가상자산 활용도가 높고 중앙은행들이 디지털 화폐를 선도적으로 발행하는 경우가 많다. 통화 가치가 불안정한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을 공식 통화로 채택한다고 발표했고, 동카리브 중앙은행(Eastern Caribbean Central Bank)은 가장 먼저 디지털 통화를 발행한 중앙은행 중 하나다. 그 밖에 금융활동 및 기관의 다양성을 확대함으로써 금융의 집중화(주식, 부동산 등의 거품현상, 담보의 내재적 가치를 상회하는 대출 행위 등)로 인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다만 위에 언급된 DeFi 참여 유인은 실증적인 것은 아니며, 지배적인 시각은 정부의 규제범위 밖에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동기라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DeFi의 확대가 이념적으로 정부들의 경제정책 실패, 중앙집권적인 경제체계에 대한 반발로 비중앙집권적 체계를 추구하려는 트렌드의 일종이라는 의견도 있다.

소비자·투자자 보호 장치 미흡, 범죄 노출 등 잠재적 문제점도 있어

한편 DeFi는 다음과 같은 잠재적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금융소비자 및 투자자 보호 장치가 미흡하다. 익명성을 기반으로 한 운영방식으로 법적 분쟁 발생 시 제도적 해결이 어렵고, 일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지식 및 이해도 부족으로 예측하지 못한 손실을 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법화를 기준으로 손실액을 산정하는 기존 제도하에서는 그 액수 산정 또한 쉽지 않을 것이다.

둘째, 자금세탁 및 탈세 등 범죄 목적 금융행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 암호화 화폐의 P2P 거래는 물론, DeFi 플랫폼에 접속 암호(admin key)로 접속하는 경우에도 실명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인 만큼 범죄 목적 금융활동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상당한 규모로 자금세탁 등이 이뤄질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시장 참여자들의 헤징(hedging)으로는 제거되지 않는 체계적 위험 증가 가능성이다. 초창기 DeFi시장의 체계적 위험은 위협적 수준은 아니라고 평가됐으나 2020년 이후 시장이 크게 성장하면서 금융시장에 미치는 위험성이 재평가되고 있다. 대표적 DeFi 활동인 가상자산 담보대출의 경우 최근까지는 충분한 담보가 있다고 평가됐으나, 최근 대출활동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담보 가치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대출 담보 가치 하락에도 오히려 관련 파생상품의 증가로 연쇄적 부실대출이 발생했듯이, DeFi에서도 유사한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금융체계처럼 일정 수준 이상의 자본 비율 등 건전성 규제가 사실상 없는 DeFi에서는 그 위험성이 더욱 크다.

그 밖에 DeFi 진입 및 탈퇴 시 전통적 의미의 금융자산으로 가상자산을 매매하는 행위가 수반되는데, 이에 DeFi시장의 변동성이 기존의 금융시장으로 전파될 가능성 또한 상존하며 최근 헤지펀드 등의 DeFi 참여 증가도 이러한 위험을 가중시킬 수 있다.

기존 금융 규제체계 적용 움직임 우세…DeFi 영역 분명히 하는 가이드라인 필요

블록체인 DeFi 프로젝트 가속화 네트워크는 참여자들의 익명성과 자율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규제당국의 접근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그럼에도 경제위기 대부분이 적절히 규제되지 않은 금융활동으로 인한 금융위기에서 발생했음을 감안하면, DeFi에 대한 사전적인 규제와 관리 방안이 긴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DeFi가 기본 전제로 하고 있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의 자율 규제와 신뢰는 언제든 쉽게 무너질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규제의 방식으로 제기되는 것은 DeFi를 대상으로 새로운 규제를 도입하는 방식과 기존 규제체계를 적용하는 두 DeFi 프로젝트 가속화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해당 국가의 금융시장 현황 및 구조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우선은 기존의 규제체계를 적용하자는 입장이 보다 우세한 것으로 보인다. DeFi는 그 기반이 되는 기술의 속성이 다를 뿐, 자산을 이용한 수익의 추구라는 금융의 본질적인 성격은 동일하며, 새로운 규제 마련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인바, 규제정책의 적시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기존 규제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많은 전문가가 제시하고 있는 기술 중립적 접근법(technology-neutral approach, 기반이 되는 기술과는 무관하게 금융활동의 성격에만 초점을 두는 접근법)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만 독일의 경우에는 DeFi시장 규제에 대해 완전히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으며, 이에 DeFi 등 디지털 금융에 특화돼 있는 「전자증권법(eWpG)」을 제정했다.

그 밖에 참여자들이 개별 DeFi 금융활동이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등을 만들 필요가 있다. 아직은 초기 단계에 불과하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디지털자산을 전담하는 핀허브(FinHub)를 만들어 DeFi 활동별 영역을 분명히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타 기술적인 측면의 특성으로 인한 규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청산 및 결제(clearing and settlement)는 기존의 금융체계와 유사하게 중앙집권적인 중개기관을 통할 것을 요구하는 정부도 있으며, 아직 부분적이며 초기 단계에 불과하나 EU의 금융투자자 보호 장치인 MiFID(Markets in Financial Instruments Directive)나 CSDR(Central Securities Depositories Regulation)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DeFi는 국경의 제한이 전혀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규제와 관리를 위해서는 국제협력이 긴요하다. 이에 OECD는 블록체인 원칙 제정을 추진하는 등 긴밀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