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 분석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e칼럼] 주식투자의 기본적 분석 무조건 따라하기(1)

은행의 정기적금이나 예금의 금리수준이 너무 낮고 물가상승률이나 개인들의 자산가치가 전체적으로 줄어드는 상황에서 투자에 대한 개념확립과 지식습득은 재테크나 투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하나의 수단이 되고 있다.

하루에도 수십 군데에서 재테크나 투자 강연회가 열리고 있고 역시 수십 군데의 인터넷 사이트나 블로그,개인 카페를 통해서 재테크와 투자 상담과 소모임이 이루어 지고 있다.

특히 2007년도와 2009년도의 주식시장 상승과 맞물려서 주식투자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고 주식투자를 통한 경제공부와 투자시장의 흐름을 익히고자 하는 일반인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어서 몇 회에 걸쳐서 주식투자에 대한 기본 지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투자는 ‘맨땅에 헤딩하기’나 ‘일단 부딪혀 보기’,’실패하면서 배우기’라는 허울좋은 얘기가 어울리지 않는 것이 그만큼 손해는 내가 보는 것이기에 어떻게든 손해를 줄일 수만 있으면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 아닐까 싶다.따라서 최소한의 기본적인 지식과 이론은 몸 속에 흐르는 피와도 같은 내 몸의 일부분으로 생각하고 부단히 이론,지식습득에 정진해야 할 것이다.

흔히들 주식투자나 기타 투자를 할 때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技術的分析, technical analysis)이라는 표현을 쓴다.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형성되는 것은 특정한 회사의 주식에 대한 투자자들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되며 주식의 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기업의 내재적 가치뿐만 아니라 시장에서의 자금흐름이나 경제동향,업종이나 산업의 향후 전망,일시적인 선호분야(태양광,자연/대체에너지,3D,스마트 폰 등)등 기업이 가지는 내재가치와는 무관한 많은 요인들도 포함이 된다.따라서 실제주가는 기업의 내용과는 약간 다른 관점과 시각에서 형성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고 오히려 주식내재가치와 주가가 일치하는 것이 드물 정도로 투자자들의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래서 기업의 내용이 어떠하든 실제로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움직이는 모양이나 추세만을 집중적으로 분석해서 주가를 예측하고 여기에 따라 투자결정을 내리는 것을 기술적 분석이라고 한다.

기술적 분석은 크게 모든 가격에는 모든 정보가 반영되어 있다라는 가정과 함께 가격은 추세를 가지고 움직인다는 기본 개념이 동시에 접목되고 가격의 패턴은 반복된다는 대 전제를 바닥에 깔고 시작된다.

이러한 기술적 분석의 장점으로는 첫째, 기술적 분석은 과거의 주가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보여 주기 때문에 향후 주가를 예측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고 둘째, 기술적 분석은 숙달될수록 분석능력이 향상된다.

셋째로는 검색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자신의 관심종목을 산출할 수 있으니 결국 이 검색조건의 우수성에 의해 종목선정의 성공확률이 높아진다.

반대로 기술적 분석의 단점으로는 첫째, 기술적 분석은 과거의 자료를 가지고 향후 주가를 예측하므로 항상 오류의 가능성이 있고 둘째, 일반 개미투자자는 기관투자가에 비해 주가 차트 툴이나 프로그램등 분석도구 측면에서 아무래도 불리할 수 밖에 없다.

셋째, 요즘 들어 많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주가 차트를 조작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자금력이 있는 작전세력은 시가총액이 적은 중소형주의 주가 차트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 분석 이렇게 인위성이 개입되면 기술적 분석의 효용이 없어지며 이용당할 위험이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필자의 경우에는 기술적 분석도 중요한 투자의 스킬 이자 방법론에서 보면 괜찮은 투자결정의 수단이겠지만 주로 기본적 분석의 개념으로 접근하려고 노력한다.

기본적 분석(基本的分析,Fundamental analysis)은 주식의 시장가격은 기업가치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보는 것으로, 기업의 내재가치(본질가치)를 분석하여 향후 주가가 상승할 것인지 하락할 것인지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기업의 내재가치(본질가치)를 기본적 분석 분석하기 위해서 경제와 산업,그리고 기업 자체의 대한 기업분석을 행하게 되며,하다 못해 대표이사의 성향이나 프로필도 참고사항이 된다.아울러 노사분규나 기본적 분석 직원들의 회사에 대한 애사심까지 감안이 되기 때문에 실제 수치적으로 알 수 없는 투자요소까지 감안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의 기본적 분석을 함으로써 현재의 주가수준 및 미래의 주가를 예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제분석을 통하여 경제의 흐름과 증권시장의 움직임에 대한 이해를 하게 되고, 산업분석과 기업분석을 통하여 유망업종 및 유망종목을 선정할 수 있다.

기본적 분석의 내용이나 구성을 살펴보면 기본적 분석은 트게 경제분석, 산업분석, 기업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분석이 어떤 시각과 관점으로 기업의 투자가치를 보고 내재가치를 파악하는 지를 살펴보면 주식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제현상은 없을 만큼, 모든 경제상황은 주식 가격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각 경제현상이 주식가격과 어떤 상호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현재시점이 투자자들의 증권투자에 적절한 시점인지를 판단하는데 필수적인 분석이 바로 경제분석이다.

세분화된 분석 내용을 살펴보면 수많은 경제현상 중에서 비교적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통화량, 물가, 금리, 환율, 원자재가격,무역규모의 증가,소비,고용 등을 들 수 있다.

산업분석은 특정업체가 속해있는 개별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 등을 파악하여, 어떠한 산업이 투자대상으로 가장 유망한 업종인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분석이다.

주식시장에서 높은 수익을 올리려면 높은 이익을 실현하고 오랫동안 영속성을 가질 수 있는 기업을 선택하여야 하나, 실제로 상장 또는 등록되어 있는 회사에서 효율적인 종목을 선택하기란 여간 어렵지 않다.

따라서, 산업분석은 투자종목을 선정하기 앞서 보다 용이한 투자를 위해 투자대상기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고 투자 기업의 폭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삼으면 좋을 듯 싶다.

기업분석은 경제분석을 통해 주가흐름을 파악하고, 산업분석을 통해 유망업종을 파악하였다면, 기업분석을 통해 유망종목을 선정하실 수 있다.즉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방식이라고 해서 탑다운방식(Top-Down)이라고도 불리는 투자방법이다.

기업분석은 특정종목의 내재가치(본질가치)를 분석하여 저평가된 종목을 발굴하는 것으로,그 기업의 재산상태와 경영성과를 집약한 재무제표 및 재무비율지표를 분석하게 된다.또한, 이러한 수치나 계량적인 지표분석 외에도 경영자의 능력 또는 기업고유의 노하우 등의 질적 요인도 아울러 분석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이어지는 투자분석의 내용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지금부터 하나의 기업을 미리 정해놓고 이어지는 기본적 분석을 통한 투자의 맥을 짚어 보는 것도 2010년을 알차고 보람되게 시작하는 지름길이 아닐까?

ScienceON Chatbot

A Simulation Study of the Investment Strategy in Stocks on Fundamental Analysis

Abstract

This paper is about the investment strategy in stocks on Fundamental analysis. Financial data of stocks from January 2. 2001 기본적 분석 through October 30. 2009 were utilized in order to suggest the investment strategies. Fundamental analysis was used in stocks-related strategy. The portfolios are composed of 3 criteria such as the buying criteria score, exchange cycle and selling conditions. The buying criteria score is determined assigned to each stock index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condition of 15 parameters selected considering the grue's criteria. The stock buying alternatives has two options with buying stocks over 13 points and over 14 points of buying 기본적 분석 criteria score. The seven exchange cycles and three selling methods are considered. So total number of portfolios is 42( $273=42$ ). The 기본적 분석 simulation has been executed about each 42 portfolios and we figured out with the simulation result that 83.33% of 35 portfolios are more profitable than average stock market profit(203.43%).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is summarized in two 기본적 분석 parts. First, it's the exchange strategy of portfolio. The result shows that value-oriented investment (long-term investment) strategy yields much higher than short-term investment strategies of stocks. Second, it's about the exchange cycle forming the portfolios. The result shows that 기본적 분석 the rate of return for the portfolio is the best when exchange cycle is 18 months.

주식투자 분석방법은 크게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 기본적 분석은 기업의 과거와 현재 상태를 보고 현재 주식의 가치와 미래의 주가를 분석하는 방법이며, 기술적 분석은 기업의 주가와 거래량의 과거 흐름을 보고 미래의 주가 흐름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재고자산회전율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회전율인 12보다 큰 종목을 채택하기로 하였으며, 매출채권회전율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회전율인 6보다 큰 종목을 채택하기로 하였다. PCR은 ‘주가/주당현금흐름’으로 피터린치의 PCFR과 비슷한 개념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PCR을 기본적 분석 PCFR의 대용으로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인 10보다 작은 종목을 채택하기로 하였다.

주식투자 분석방법은 크게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 기본적 분석은 기업의 과거와 현재 상태를 보고 현재 주식의 가치와 미래의 주가를 분석하는 방법이며, 기술적 분석은 기업의 주가와 거래량의 과거 기본적 분석 흐름을 보고 미래의 주가 흐름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흔히 개인투자자가 봉차트 등을 분석하여 단기간 주가 흐름을 예측하고 투자하기 위해 기술적 분석이 주로 사용하며, 기관에서 기업 성장성 및 안정성 등의 보고서를 작성할 때 기본적 분석이 주로 사용된다[5].

업비트 투자자보호센터

기본적 분석은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질적 분석은 경제상황, 경영능력 등 계량화가 불가능한 사항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양적 분석은 투자와 관련된 수치적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디지털자산과 관련해 살펴볼 양적 분석 요소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가총액

디지털자산의 시가총액이란 채굴된 모든 코인의 총 가치 입니다. 디지털자산에서 시가총액은 특정 디지털자산의 시장 가격에 채굴된 총 코인 수를 곱하여 계산됩니다. 시가총액은 디지털자산이 얼마나 안정적일 수 있는지에 대한 대략적인 척도입니다. 보다 시가총액이 큰 디지털자산이 보다 안정적인 투자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시가 총액이 작은 디지털자산은 시장의 변화에 더 민감하며 그 결과 엄청난 이익이나 극적인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시가총액이 1000억 달러를 넘는 대형 디지털자산의 경우 유동성이 더 높기 때문에 위험이 낮은 투자로 볼 수 있습니다. 중형 디지털자산의 시가총액은 10억 달러에서 1000억 달러 사이이며 일반적으로 성장 잠재력이 더 높지만 위험도 더 높습니다. 시가총액이 10억 달러 미만인 소형 디지털자산은 시장의 극적인 변동에 가장 취약합니다. 다만 디지털자산에서 가장 큰 시가총액을 가진 비트코인조차도 여전히 높은 변동성을 보인다는 점에 유의 할 필요가 있습니다.

트랜잭션 수량과 볼륨

디지털자산에서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디지털자산의 소유권 이전 내역입니다. 트랜잭션에는 송금자의 지갑주소, 수령자의 지갑주소, 송금 정보(트랜잭션 ID 또는 트랜잭션 해시로 표시), 송금액, 수수료 등 모든 정보를 기록합니다. 트랜잭션 수는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활동의 좋은 척도 입니다. 일정 기간에 대한 트랜잭션 수를 확인하거나 이동평균을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해당 블록체인의 활동량이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트랜잭션 볼륨이란 일정 기간 동안 트랜잭션된 양 을 의미합니니다. 예를 들어 1만 원의 가치가 있는 디지털자산이 같은 날에 총 100개가 이전된 경우 해당 디지털자산의 일일 트랜잭션 볼륨은 100만 원입니다. 트랜잭션 볼륨은 원화, 달러와 같은 법정 통화로 표시하거나 디지털자산의 개수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활성 주소

활성 주소는 주어진 기간 동안 활성화된 블록체인 주소 입니다.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트랜잭션의 발신자와 수신자를 모두 계산하여 활성 주소 수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활성 주소 수를 통해 시장 참여자들의 숫자를 가늠해볼 수 있는 것입니다.

해시레이트

해시레이트(hashrate)란 연산 처리능력을 측정하는 단위 입니다. 해시레이트는 작업 증명(proof of work)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디지털자산에서 네트워크 상태의 척도로 자주 사용됩니다. 해시레이트가이 높을수록 연산량이 많아지므로 채굴 난이도가 높아집니다.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참여자가 늘어날수록 해시레이트가 높아지기 때문에 해시레이트가 기본적 분석 높다는 것은 해당 디지털자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유동성

유동성은 자산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 를 의미합니다. 유동성이 높은 디지털자산은 현금화가 쉽다는 것을, 유동성이 낮은 디지털자산은 현금화가 어렵다는 것을 뜻합니다. 유동성이 낮은 자산을 현금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매도 가격을 낮추거나 유동성이 증가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며 이러한 거래 비용이 크다면 해당 자산은 적절한 거래 대상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점을 나타냅니다.

주식투자 입문: 기본적 분석 & 기술적 분석

아직도 커뮤니티 소식이나 감에 의존해서 주식투자하세요? 주식, 한번 제대로 하고 싶은 분들 주목! 안전 투자, 장기 투자를 위한 분석 방법!

커리어 성장을 원한다면, 지금이 기회 !

할인가 확인하고, 현업 강사님과 함께 실무 노하우와 스킬을 마스터하세요.

우리, 강의 구성도 확인해볼까요?

주식투자 입문

주식 입문자를 위한 강의.
HTS를 사용하는 방법부터, 주식 투자를 위한 분석 방법까지

01. 재무제표? 사업보고서? 처음 들어봤어도, 주식 투자 시작해 보고 싶다.

주식이 무엇인지, 주식 장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재무제표와 사업보고서는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지, 주식 입문자에게 꼭 필요한 내용들만 모아서 준비했습니다. 복잡해 보이던 주식투자를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02. 주식 매매 시점과 타이밍을 잡는 기준이 모호해서, 확실하게 잡고 싶다.

열심히 기업분석을 해 봤지만 언제 매수와 매도를 하는지 타이밍이 모호했던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입문자들도 충분히 할 수 있는 매매 기법을 알려드립니다. 전문 트레이더에게 매매의 원칙을 배울 수 있습니다.

03. 부족한 투자 경험을 전문가의 실제 Case를 통해 경험하고 싶다.

주식 입문자는 주식 투자에 대한 경험이 부족합니다. 기술적 분석과 기본적 분석의 이론만 아는 것은 실전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실전 투자 사례를 통해 간접적으로 투자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주식투자 입문주식투자 입문

주식투자 입문

우리 코스의 특징이 무엇인가요?

증권사 HTS 활용 방법부터 배우는 입문 과정

키움증권 Home Trading System(HTS)을 사용하는 방법부터 분석 기법까지 단계별로 알려드립니다. 주식 투자를 한 번도 안 해 보신 분들도 충분히 따라갈 수 있게 모든 준비를 도와드립니다.

주식과 주식 시장의 개념 이해

투자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위해서는, 주식은 어떤 것인지, 어떻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 개념부터 확실하게 배워야 합니다. 따라서 주식의 개념부터 종류와 차트를 읽는 방법, 관련 제도까지, 실제 거래를 위해 필요한 지식을 모두 전달해 드립니다. 주식으로 어떻게 수익을 얻는지 배울 수 있습니다.

기본적 분석 & 기술적 분석 모두 습득

사업보고서를 활용하는 기본적 분석과 주가를 활용하는 기술적 분석을 모두 알려드립니다. 실제 사업보고서를 분석하며, 그 안의 재무제표, 현금흐름표, 손익계산서의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실제 가격 그래프를 보며 주가의 패턴과 추세를 알려드립니다.

망설이는 동안,
누군가는 먼저 시작합니다.

승률 80% 이상의 5가지 매매 기법

자동검색식을 활용한 매매 종목 추출

매수에서 끝나지 않는, 수익을 창출하는 매도 타이밍 확보

💡 본 강의를 수강하기 전, 안내사항

  • * 본 과정은 전체 오프라인으로만 진행되며, 복습을 위한 녹화본을 제공합니다.
  • * 본 과정은 높은 퀄리티를 위해 수강 인원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 * 수강 신청 접수는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이후 과정이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 개강 안내는 모집 마감 2~3일 전 안내드립니다.
  • * 수강 시 개인 노트북이 필요합니다.

코스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Q. 바이오는 기관투자자들이 선방하는 영역 아닌가요?

그런 부분도 물론 있습니다. 왜냐하면 비전공 개인 투자자가 바이오 기업의 IR 자료를 객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눈을 갖추는 것은 어려운 일이니까요. 하지만 자산운용사의 편입 비중 1위 종목이 제약/바이오 섹터가 많다는 것은 이 분야 성장가능성에 대한 전문가들의 확신을 뜻하기도 합니다. 전문투자자들이 투자종목에 확신을 얻게 되는 그 근거, 그 논리의 매커니즘을 짚어드립니다.

Q. 바이오 기업의 성공, 운 아닌가요?

고평가된 종목도 많고, 기본적 분석 타산업에 비해 불확실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나, 마켓의 이해, 신약개발 프로세스, 임상 데이터를 이해하기 시작한다면, 주가의 움직임이 기반하는 펀더멘털을 이해할 수 있고, 이는 투자의 실패를 확연히 줄여줄 것입니다. 또한 강의에서는 국내 뿐 아니라 미국시장의 트렌드와 이슈를 균형있게 짚어보며, 바이오기업 주가상승 기저에 있는 시장의 기대와 불확실성을 분석해 봅니다.

Q. 비전공자는 공부해도 어려워서 포기하게 돼요!

헬스케어 섹터에는 제약, 진단, 플랫폼,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의 투자처가 있습니다. 만일 신약개발분야가 어렵다면, 디지털 헬스케어, 바이오 시밀러, CMO 섹터를 살펴보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특히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코로나 19로 높아진 보험재정의 부담을 낮추고자 하는 각국의 정부가 규제 완화를 해나가면서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은 2024년까지 800억불 규모의 성장이 예상되는 큰 시장입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