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 Stop, Limit order 뜻, 사용법) • 코리얼티USA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2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스탑 리밋(Stop-Limit) 주문이란 무엇인가요?

스탑 리밋 주문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이를 스탑(stop) 가격과 리밋[지정가, (limit)] 가격으로 나눠보는 것입니다. 스탑 가격은 리밋 주문을 발생시키는 가격이며, 지정가 가격은 발생한 지정가 주문의 특정 가격입니다. 이는 스탑 가격에 도달한 다음, 지정가 주문이 즉시 오더 북에 제출 됨을 의미합니다.

스탑 가격과 지정가 가격은 동일할 수 있으나, 꼭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스탑 가격(실행 가격을) 지정가 가격 보다 조금 높거나(판매 주문을 위해) 낮게(구매 주문을 위해) 설정해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를 통해 스탑 리밋이 발동된 이후 지정가 주문이 체결될 확률이 올라가게 됩니다.

어떻게 사용하나요?

이러한 상황에서, 예측이 틀려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할 때 발생하는 손실을 줄이기 위해 스탑 리밋 판매 주문을 설정하고 싶으실 수도 있습니다. 설정을 위해서는 바이낸스 계정에 로그인한 다음, BNB/BTC 시장으로 이동합니다. 그런 다음, 스탑 리밋 탭에서 판매 할 BNB의 수량과 함께 스탑 가격과 지정가[리밋] 가격을 설정합니다.

0.0012700 BTC가 합리적인 저항선 레벨이라 생각하신다면, 해당 가격 바로 아래에 스탑 리밋을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지지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서). 본 예시에서는, 5 BNB에 대한 스탑 리밋 주문을 0.0012490 BTC 스탑 가격과 0.0012440 BTC 지정 가격에 설정해 보겠습니다.

BNB 판매(Sell BNB) 버튼을 클릭하면 확인 창이 나타납니다. 모두 정확한지 확인한 다음, 주문 제출(Place Order) 을 클릭합니다.

지정가 주문을 제출한 뒤, 다음과 같은 확인 메시지를 보시게 될 것입니다.

스크롤을 내려 미체결 주문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스탑 리밋 주문은 스탑 가격이 도달할 때만 제출되며, 지정가 주문은 시장 가격이 지정 가격과 일치할 때 채워진다는 것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지정가 주문이 발동되었지만(스탑 가격에 의해), 시장 가격이 지정 가격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지정가 주문은 미체결 상태로 남게 됩니다.

가끔 가격이 급격히 떨어지는 상황을 맞닥뜨릴 수 있고, 스탑 리밋 주문이 채워지지 않고 그냥 지나가게 될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재빨리 거래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위해 시장가 주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언제 사용해야 하나요?

스탑 리밋 주문은 위기를 관리하는 소중한 도구이며, 심각한 손실을 막기 위해 설정해 두어야 합니다. 염두에 둘 것은, 거래 목표가를 도달했을 때 이익을 실현시키기 위한 판매 주문을 제출하는 데도 유용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상승 추세가 시작되는 동안 특정 지지선이 붕괴되었을 때 자산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주문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오더 타입 (Market, Stop, Limit order 뜻, 사용법)

미국 주식 시장 열기가 뜨거워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주식 투자를 시작하고 있죠. 로빈후드나 위불을 설치하고 투자를 시작할 때 알아야 할 것들이 있는데요. 그 중 하나가 Market order, Stop order, Limit order, Stop-Limit order 같은 미국 주식 오더 타입(Order Type)입니다.

미국 주식 오더 타입

미국 주식 오더 타입은 1) Market order 2) Limit order 3) Stop order 4) Stop Limit order 이렇게 4종류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주식을 처음할 때는 대부분 시장가(Market price)로 Buy & Sell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주식 오더 종류를 잘 이용 하면 매수나 손절 타이밍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오더 타입 #1 (Market order)

1. Market order 뜻

Market order(마켓 오더)는 시장가 매매 주문입니다. 즉, 현재 거래되고 있는 가격(이른 바 호가)에 주식 매수 매도 주문을 요청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arket order는 요청 시 대부분 주문이 체결 됩니다.

다만, Market order를 사용하면 원하는 가격보다 불리한 가격으로 주문이 체결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가격이 급등락하거나 거래량이 적을 때 그렇죠. 이렇게 원했던 가격보다 나쁜 가격으로 체결되는 것을 슬리피지(Slippage)라고 하는데요. 슬리피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보세요.

2. Market order 사용법

Market order는 대부분 거래창에 기본(default)으로 세팅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Market order를 사용하려면 1) 종목 선정 2) 주식 호가 확인 3) Buy 또는 Sell 선택 4) 주문 타입이 Market인지 확인 5) 수량 입력 후 주문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미국 주식 주문 타입 (Market order)

미국 주식 오더 타입 #2 (Limit order)

1. Limit order 뜻

Limit order(리미트 오더)는 주가가 정한 가격에 도달 하면 그 가격 또는 더 유리한 가격으로 체결되는 주문 방식입니다. 한국에서는 지정가 매매 라고도 하는데요. 자동 매매를 하는 분들이 많이 사용하는 주문 방식입니다.

2. Limit order 사용법

예를 들어, 현재 $10인 A주식을 $8 이하로 사고 싶다면 Buy Limit order를 $8로 지정하고 주문합니다. 그러면 A주식이 $8로 떨어졌을 때 $8 이하로 매수 주문이 체결되죠. 다만, 이 때 $8이하 매도 주문 수량이 부족한 경우 거래가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매수 매도 limit order

반대로 $10 주식을 $15에 팔고 싶다면 Sell Limit order를 $15로 지정하고 주문하면 됩니다. 그리고 주가가 $15에 도달하면 $15 또는 그 이상 가격으로 매도 주문이 체결됩니다. 단, 매수 주문과 마찬가지로 매수 주문 수량이 부족한 경우 체결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Time-in-Force는 limit order를 언제까지 남겨둘지 를 정하는 것입니다. Day로 설정하면 limit order가 장 마감까지 유효하며, GTC(Good Till Canceled)로 하면 직접 취소하기 전까지 limit order가 남아있게 되죠. 다만, GTC를 설정하고 까먹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미국 주식 오더 타입 #3 (Stop order)

1. Stop order 뜻

Stop order(스탑오더)는 특정 가격 이 되면 시장가로 주문(Market order)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Limit order 처럼 특정 가격에 발동(trigger)되지만, 시장가(호가)로 주문된다는 차이가 있죠. 시장가로 주문되면 체결되지 않고 넘어가는 이른 바 미체결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반면, 주가 급등락 시 불리한 가격으로 거래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죠.

2. Stop order 사용법

Stop order 사용법은 Limit order 사용법과 거의 동일 합니다. Buy 또는 Sell을 선택하고 Stop Price에 가격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stop order price로 $10를 입력하면 주가가 $10가 되었을 때 시장가 주문이 발동됩니다. 그리고 $10로 체결되거나 더 불리한 가격으로 체결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 오더 타입 #4 (Stop Limit order)

1. Stop Limit 뜻

Stop Limit order(스탑 리미트 오더)는 Stop order와 Limit order가 섞인 주문 방식을 의미합니다. 앞서 살펴봤듯이 Limit order는 원하는 가격에 주문을 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미체결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반면, Stop order는 원하는 가격에 도달하면 대부분 체결되지만, 불리한 가격에 체결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죠.

미국 주식 주문 타입 stop limit order 설명

Stop Limit order는 주문이 발동되는 Stop 지점 과 한계선을 나타내는 Limit를 설정 합니다. 예를 들어, A주식이 오를 것 같아서 매수(Buy) Stop Limit order(Stop $10, Limit $12)를 입력했다고 보죠. 그러면 A주가가 $10되었을 때 Market order(시장가 주문)가 발동되는데요. 만약에 주문이 체결되지 않고 주가가 올라가더라도 $12을 초과하여 매수되지는 않습니다.

반대로 보유하고 있는 A주식이 떨어질 것 같아서 매도(Sell) Stop Limit order($Stop $10, Limit $8)를 넣은 경우, A주식이 $10가 되면 주문이 발동하고 $8 이하로는 매도되지 않습니다. 이처럼 Stop Limit는 Stop order와 Limit order의 단점을 보완한 주문 방식이라고 할 수 Market, Stop, Limit order 뜻, 사용법) • 코리얼티USA 있습니다.

2. Stop Limit order 사용법

1) Buy 또는 Sell을 정하고 2) order type에서 Stop Limit order를 선택합니다. 그 다음 3) Stop과 Limit 가격을 입력합니다. 위 그림에서 봤듯이 Buy인지 Sell인지에 따라 Stop, Limit 가격을 잘 입력해야 합니다. 단, Stop limit order가 100% 주문 체결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Stop Limit order를 걸어두면 아래 그림 같은 시나리오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316.32에 매수한 B주식에 대해 혹시 모를 하락에 대비해 손절라인(Stop) $289.83, 손절 한계라인(Limit) $284.23를 입력했다고 보죠. 2일 후 장 시작할 때 가격이 손절 한계라인보다 밑에 있기 때문에 Stop order는 발동되지만 미체결 상태로 있습니다. 그러다가 주가가 올라 limit 경계를 넘어서면서 체결되는 케이스입니다.

stop limit order 예시 #1

다음 그림은 매수한 다음날 Stop order가 발동되고 시장가로 체결되는 사례입니다. 이처럼 Stop limit order를 사용할 때 다양한 케이스가 있을 수 있으니 잘 생각하고 주문을 넣어야 합니다.

stop limit order 예시 #2

이상 미국 주식 오더 타입에 대해서 각 종류별 뜻과 사용법 을 살펴봤습니다. 한국에서는 주문 타입을 시장가 매매, 지정가 매매 등으로 나누죠. 주식창을 하루종일 보기 어려운 직장인이라면 이런 주식 오더 타입들을 잘 활용하여 자동 매매할 수도 있습니다.

Disclaimer : 이 글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투자 판단에 대한 조언입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에 따라야 하며, 그 결과 또한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Market, Stop, Limit order 뜻, 사용법) • 코리얼티USA 시장통 자료방

Stop [스탑]은 현재가 보다 불리한 가격에 내는 주문을 말하고, Limit [리미트]는 현재가 보다 유리한 가격에 내는 주문을 말한다.

곧, 매도주문에서는 현재가격 보다 낮은 가격에 내는 주문이 스탑 오더 (Stop order)가 되고 현재가격 보다 높은 가격에 내는 주문이 리미트 오더 (Limit order)가 된다. 이와 반대로, 매수주문에서는 현재가격 보다 낮은 가격에 내는 주문이 리미트 오더가 되고 현재가격 보다 높은 가격에 내는 주문이 스탑 오더가 된다.

스탑 (stop)과 리미트 (limit) 뜻과 차이점

매도주문의 예를 들어 보면, 금값이 현재 온스당 1,000 달러라고 할 때,
현재가격보다 불리한 (낮은) 가격인 990 달러에 매도주문을 내면 이 주문은 스탑오더가 되고, 현재가격 보다 유리한 (높은) 가격인 1010 달러에 매도주문을 내면 이 주문은 리미트오더가 되는 것이다.

매수주문의 예를 들어 보면, 금값이 현재 온스당 1,000 달러라고 할 때,
현재가격 보다 불리한 (높은) 가격인 1010 달러에 매수주문을 내면 이 주문은 스탑오더가 되고, 현재가격 보다 유리한 (낮은) 가격인 990 달러에 매수문을 내면 이 주문은 리미트오더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주문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컨데, 금값이 현재 1,000 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강력한 저항선인 1100 달러선에 닿으면 꼭지를 형성하고 내려갈 것으로 판단된다면, 시세변화를 지켜보고 있을 필요 없이 1100 달러에 매도주문을 넣어 두면 될 것이다. 이 때의 매도주문은 현재가격 보다 유리한 가격에 Market, Stop, Limit order 뜻, 사용법) • 코리얼티USA 내는 주문이므로 리미트오더 (리미트 셀 오더)가 된다.

한편으로는, 금값이 현재 1,000 달러선에서 들쭉날쭉 거래되고 있지만 일단 990 달러선이 깨지면 그것은 앞으로 쭉 하락하는 신호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면, 시세창 앞에서 힘들일 필요 없이 990 달러 또는 그 보다 조금 아래인 989 달러에 미리 매도주문을 넣어 두면 될 것이다. 이 때의 매도주문은 현재가격 보다 불리한 가격에 내는 주문이므로 스탑오더 (스탑 셀 오더)가 된다.

매수의 경우에는, 금값이 현재 1,000 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만약 1100 달러를 돌파하면 앞으로 쭉 올라갈 것으로 판단된다면, 미리 1100 달러선에 매수주문을 넣어 두는 것이다. 이 때의 매수 주문은 현재가격 보다 불리한 가격에 내는 주문이므로 스탑오더 (스탑 바이 오더)가 된다.

이와 상대적으로, 금값이 현재 1,000 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990 달러선까지 내려 와서 지지선을 확인하고 그 다음에 쭉 올라 갈 것으로 Market, Stop, Limit order 뜻, 사용법) • 코리얼티USA 판단된다면, 미리 990 달러선에 매수주문을 넣어 두는 것이다. 이 때의 매수주문은 현재가격 보다 유리한 가격에 내는 주문이므로 리미트오더 (리미트 바이 오더)가 된다.


● MIT (Market-if-touched) [엠 아이 티 (마켓 이프 터치트)]
엠아이티는 말 그대로 가격이 특정한 가격에 닿으면 마켓주문(시장가 주문)으로 들어 간다는 뜻이다. MIT주문은 현재가를 기준으로 한 구분이 없으므로, 단순히 MIT 매수주문 (MIT BUY Order)과 MIT 매도주문 (MIT SELL Order) 이라는 용어만 쓰인다.

위의 Stop과 Limit는 현재가격을 기준으로 하여 불리함과 유리함을 구분하였지만, MIT는 그러한 구분을 하지 않아 복잡하지 않다. Stop과 Limit도 지정한 가격에 닿으면 마켓주문(시장가 주문)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다른 특정한 조건이 붙지 않는 한, 결과적으로는 MIT와 다를 바가 없다.


● StopLoss [스탑로스] 손실절단 (損失切斷) => 손절 (損切)
스탑로스는 말 그대로 손실이 계속되는 것을 중단시킨다는 말이다. 가격이 포지션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손실이 발생할 경우에, 손실이 일정한 정도에 이르면 포지션을 청산하여 손실이 더 커지는 것을 중단시키는 것이다. 스탑로스도 지정한 가격이나 손실금액 등과 같은 조건에 닿으면 시장가주문으로 들어가게 된다.

스탑로스 주문이 실행되면, 실제 체결가격은 설정한 스탑 가격과 같거나 그 보다 불리한 가격이 된다. 설정한 가격과 실제 체결된 가격간의 차이를 슬리피지 (slippage)라고 한다. 슬리피지는 가격변동이 심할 수록 그리고 갭변동이 Market, Stop, Limit order 뜻, 사용법) • 코리얼티USA 있을 경우에는 그 만큼 더 커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슬리피지 없이 설정한 가격에 체결되도록 하거나 또는 그렇게 처리해주는 것을 보증스탑로스 (개런티드 스탑로스, Guaranteed stop-losses)라고 부른다. 이러한 보증스탑로스의 경우에는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비싸며, 현실적으로 보증스탑로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 리미트(Limit)라는 말은 한계, 제한 등의 뜻이며, 거래 용어에서는 지불할 (증권을 사는) 금액 또는 가격의 한계를 정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예컨데, 금값이 현재 1,000 달러라고 할 때, 990 달러에 리미트 매수주문을 낸다면, 이는 금을 사되 지불할 금값(가격)의 한계를 990 달러로 제한 하겠다는 뜻이다.

리미트 주문에는 리미트 바이 (Limit buy), 리미트 셀 (Market, Stop, Limit order 뜻, 사용법) • 코리얼티USA Market, Stop, Limit order 뜻, 사용법) • 코리얼티USA Limit sell), 리미트 엔트리 오더 (Limit entry orders), 리미트 클로징 오더 (Limit closing orders) 등의 말이 쓰인다.


● 스탑(Stop) 이라는 말은 잘 못 또는 불리하게 진행되는 무엇을 중단시킨다는 뜻이고, 거래에서도 마찬가지로 손실이 나는 것을 중단시키는 것을 스탑로스 (StopLoss)라고 한다.

스탑(Stop)은 스탑오더 (Stop order)에서도 같은 개념으로 쓰인다.
예컨데, 가격이 쭉 내려 간다고 판단될 때, 매도포지션을 취하고 있으면 수익이 날 터인데 아무런 포지션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아무런 수익이 나지 않는 것이며, 이는 수익이 나는 기회를 잃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특정한 가격선이 무너지면 매도주문으로 전환 될 수 있는 스탑셀 주문을 넣어 그러한 기회가 상실되는 상황을 중단시키는 것이다.

반대로 특정한 가격선이 돌파되면 가격이 쭉 올라 갈 것으로 판단될 때, 그 특정한 가격에 스탑바이 주문을 걸어 둠으로써 가격이 올라 갈 때 얻을 수 있는 수익 기회를 놓치게 되는 상황을 중단시키는 것이다.

스탑주문에는 스탑 바이 (Stop buy), 스탑 셀 (Stop sell), 스탑 엔트리 오더 (Stop entry orders), 스탑 클로징 오더 (Stop closing orders) 등의 말이 쓰인다.


● When you place a stop or limit order, you are telling your broker that you don't want the market price, but that you want the stock price to move in a certain direction before your order is executed.
스탑이나 리미트 오더는 브로커에게 현재의 가격으로 체결하는 것을 원하지 않으며 가격이 특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폭만큼 움직인 다음에 주문이 체결되기를 바란다고 알리는 것이다.

● With a stop order, once the stop order has been triggered, it turns into a market order, which is filled at the best possible price. This price may be lower than the price specified by the stop order.
스탑오더에서 스탑가격에 닿으면 시장가주문으로 전환되어 들어가고 시장호가 가운데서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체결이 된다. 하지만 체결가격은 스탑가격 보다 불리한 가격일 수 있다.

● A limit is an instruction to trade if the price of a market reaches a particular level that is more favourable than the current price. The limit order level is the maximum at which you are willing to buy, or the minimum at which you will sell for.
리미트는 시장가격보다 유리한 리미트가격에 닿으면 주문을 집행하라고 지시하는 것이다. 리미트주문에서 리미트가격은 증권을 살 때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 한계선이며, 매도에서는 팔 용의가 있는 최소 한계선이다.

● You can use a limit order either to open a new position (an entry order) or to terminate an active position (a closing order). Limits will always be filled at your chosen price, or sometimes at a slightly better price.
리미트오더는 새로운 포지션을 열 때 (진입주문, entry order)나 기존의 주문을 청산할 때 (청산주문, closing order) 사용할 수 있다. 리미트주문은 설정한 리미트가격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약간 유리한 가격에 체결될 수 있다.

Limit 주문

미국주식 매도 주문종류(MOC, STOP, STOP LIMIT)

    본문 폰트 크기 조정 본문 폰트 크기 작게 보기 본문 폰트 크기 크게 보기 가

미국시장이 밤에 열리다보니 기다렸다가 체결하기에는 여러가지로 부담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저는.

지난 포스팅에서 LOC, VWAP, TWAP 방식의 주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키움증권 기준으로 매도주문시에도 이러한 주문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매도주문에만 있는 MOC, STOP, STOP LIMIT 방식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러한 주문방식들은 사실 일반 주식시장보다는 선물 트레이딩에서 자주 쓰이는 방식들입니다.

MOC (Market On Close)은 종가에 최대한 근접해서 체결시키는 시장가 주문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설명했던 LOC와의 차이는 시장가 주문이라는 것입니다. LOC는 내가 지정한 가격보다 유리하지 않으면 체결이 되지 않지만 MOC는 종가에 근접한 시장가 주문 으로 체결이 됩니다. 따라서 LOC와는 달리 가격을 지정하지 않습니다 .

역지정가 혹은 손절매 주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정한 가격에 도달하게 되면 시장가 로 주문이 들어갑니다. 일정가격 밑으로 떨어지면 손절을 치라는 주문이죠. 따라서 손절가격만 지정해주면 됩니다.

시장가 주문이기 때문에 반드시 지정한 가격에 매도가 체결된다고 할 수 없습니다. 거래량이 많지 않거나 빠르게 하락할 경우 더 낮은 가격에 매도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주문은 STOP(손절)과 LIMIT(지정가) 주문이 합쳐진 형태입니다. STOP이 시장가로 손절 주문을 넣는다고 했습니다. STOP LIMIT는 손절가격에 도달하면 시장가가 아닌 지정가로 주문 이 들어가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100불에 STOP을 걸어놓고 LIMIT는 95불에 지정해 놓았다면 100불 밑으로 하락할 경우 주문이 나가는데, 지정가가 95이므로 95보다 낮은 가격으로 떨어지면 매도 주문이 나가지 않습니다.

그냥 STOP주문이 가격 상관없이 시장가로 체결하는 것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STOP LIMIT에는 손절가격과 지정가격 두 개를 지정 해 주어야합니다.

손절가격에 도달시 지정된 수량을 '처분'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STOP을, 가격까지 신경쓰겠다면 STOP LIMIT로 가시면 됩니다.

미국 주식 주문 종류 - market, limit, stop, stop limit (feat. 위불에서 주식 거래하기)

블로그 이미지

위불 Webull 은 직관적이어서 초보자들도 쉽게 사용하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지난 포스팅에서 말씀드렸어요.

사고 싶으면 Buy,
팔고 싶으면 Sell 을 누르시면 돼요. ^^

단, 그 과정에서 용어들이 좀 나오는데
미리 알아두시면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거예요.

위불 메인화면에서 TRADE 를 클릭하시면
아래 화면으로 넘어가요.

위에서 세 번째 우주선 아이콘 을 클릭하시면
Market 창으로 가실 수 있어요.

오른쪽 위에 있는 검색창원하는 종목을 검색 하시고 엔터를 누르시면
관련 종목 창으로 넘어가요.

이 때 주의하셔야 할 점은
원하는 종목으로 정확하게 입력하셨는지 확인 하셔야 해요.

예를 들어서 ETF 중에서 QQQ를 검색하고 싶은데
QQQ 이름이 들어간 종목이 꽤 많죠?

잘못하면 원하지 않는 종목을 구입하실 수도 있으니
잘 살펴보시고 클릭하셔야 해요.

그래서 저는 미리 찾아서 즐겨찾기 등록을 해놔요.
( My Watchlist ★ - 종목 즐겨찾기 하는 방법은 이 글 하단에 적혀있어요~)

만약 애플을 사려고 검색하셨다면
위와 같은 화면이 떠요.

오른쪽 부분을 내려보시면
Buy - Sell 사고 팔 수 있는 창이 있어요.

주식을 구매하실 거면 Buy 를 누르시고
Quantity 부분에 사고싶은 갯수를 입력하시면 돼요.

가격 설정은 Order Type 에서 하실 수 있어요.

Order Type
Market, Limit, Stop, Stop limit 이렇게 4가지가 있어요.

Market 은 클릭하는 순간 거래되는 주식의 가격 으로 사거나 파는 거예요.

운이 좋으면 원했던 가격보다 싸게 살 수도 있지만
운이 나쁘면 순간 가격이 올라서 원했던 가격보다 비싸게 사실 수도 있어요.

Limit 은 원하는 가격을 미리 설정 해놓고
그 가격에 도달했을 때 사거나 팔 수 있도록 하는 거예요.

예를 들어 애플 주식이 현재 $302.22 인데 $290 정도에 사고 싶다고 했을 때
Buy Limit $290 으로 설정해 놓으시면
주식 시장에서 애플 주식 가격이 $290 이나 그 아래 가격이 되는 타이밍에 살 수 있어요.

반대로, 애플 주식을 $310 정도에 팔고 싶을 때는
Sell Limit $310 으로 설정해 놓으시면
주식 시장에서 애플 주식 가격이 $310 이나 그 이상의 가격이 되었을 때 팔 수 있어요.

Stop 은 가격을 미리 설정해놓고 그 가격에 도달했을 때
Market order 로 주식을 사거나 파는 시스템이예요.

가격을 미리 설정해 놓고 그 가격에 도달했을 때 액션이 취해진다는 점에 있어서는
Limit 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지만

Limit 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Stop 은 당시 현재 거래 가격 (Market price) 으로 체결 된다는 거예요.

다시 말해서, 본인이 원하는 가격에 살 수 없을 수도 있다 는 이야기예요.

예를 들어서,
어떤 주식을 Sell Stop $20 으로 걸어두었다면,
주식 가격이 $20 에 도달했을 때 주식 거래가 발동되고
당시 현재 거래 가격으로 주식을 팔게 되는거예요.

주식은 가격 변동이 많아서
$20에 도달했지만 순간적으로 가격이 오를 수도 있고,
반대로 가격이 내려갈 수도 있기 때문에
본인이 원했던 가격인 $20 에 팔지 못할 가능성이 있어요.

Limit 이 있는데 Stop 을 굳이 사용하는 이유
주가가 하락할 때 지정된 선에서 손절 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만들어 놓는 거예요.

4. Stop Limit

Stop Limit 은 Stop과 Limit 을 합쳐놓았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위에서 StopMarket price 로 거래가 체결 된다고 말씀드렸죠.

Stop LimitLimit 으로 정해놓은 가격에 거래가 체결 돼요.

예를 들어,
어떤 주식을 가격이 $20 이 되면 팔고 싶은데
$15 이하 가격으로는 팔고 싶지 않을 경우

Sell Stop $20 - Sell limit $15 이라고 설정해 놓으시면 돼요.

주식 가격이 Stop 가격에 도달 했을 때 Buy 나 Sell 이 발동되는데
무턱대고 현재 거래 가격 (Market price) 에 거래하는 게 아니라
Limit 가격을 설정해 놓음으로써 주식 가격을 컨트롤 할 수 있게 되는거죠.

주식을 손절하려는데 가격도 신경을 좀 쓰고 싶다 고 하실 때
Stop limit 을 많이 사용하시는 것 같아요.

사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limit 이예요.

주식을 사고 팔 때 limit 을 걸어두면
당시 거래가 보다 싸게 사거나 비싸게 팔 수 있어서 좋아요.

취소하는 것도 간편하니까 부담없이 사용하실 수 있으실 거예요.

위 사진은 어떤 종목이 현재 $247.23 인데 Market, Stop, Limit order 뜻, 사용법) • 코리얼티USA
13개를 $247.40에 팔고 싶다고 limit 을 걸어둔 모습이예요.

저 가격에 주식이 다 팔리면 [email protected] Sell 13 이게 없어져요.

그런데 만약 취소하고 싶으시면 옆에 있는 X 만 눌러주시면 돼요.


Limit을 여러 개 걸어두실 수도 있어요.

그런데 주의하실 점은 Limit 을 여러 개 설정해도 그림에는 1개만 나와요.

Account 클릭하시고 Today's Order 에 가셔서 확인하셔야 해요.

그림에는 $242.70 만 나오는데
제가 $242.80 도 설정해놓은 게 보이시죠?


취소 를 하고 싶으시면
해당 주식을 클릭 하시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 을 누르신 뒤
Cancel Order 누르시면 돼요.

즐겨찾기 하시는 방법은
종목 검색 후 이름 위에 커서 를 놓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 을 누르시면
Add to Watchlis - My Watchlist 옆에 별을 클릭 하시면 돼요. (☆ → )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